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0;21(8):1042-1052.
Published online August 1, 2000.
Smoking status and the related factors of high school students.
Sok Goo Lee, Yun Yung kwon, Kil Hoi Lee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일부 도시지역 고등학교 1 학년 학생들의 흡연실태와 관련요인
이석구, 권윤형, 이길희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Background
: Although the rate of smoking in adults is decreasing, its rate in adolescents keeps increasing gradually. Especially, smoking in adolescents is a serious problem that may be deeply related to drug abuse and is the main cause of a number of diseases. Anti-smoking program is essential to prevent this matter. Therefore, analysis of smoking status and its related factors in adolescents in a region where such as a program was performed may be useful.

Methods : Questionnaire-survey was performed on 1,516 students of six high schools in a city who wished to participate in the anti-smoking program and analyzed the results concerning smoking status and the related factors on 1,380 students which consisted of 862(62.5%) males and 518(37.5%) females who completed the questionnaire.

Results : Smoking prevalences were 40.1% in males and 17.6% in females. Height, weight, educational level of parents and occupation of father were assessed. In the case of male students, the taller they were the more they smoked.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the higher their mother’s educational level the more they smoked. Siblings’ and close friends’ smoking status had influence on smoking in both males and females. Drinking status affected smoking status in both males and females. The total mean of knowledge and attitude score was 1.39 and 1.32, respec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en’s knowledge and attitude score and in women’s attitude score categorized by smoking status. The men’s knowledge and attitude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women’s. In the results of regression, the knowledge score had a negative coefficient and the attitude score had a positive coefficient as the dependent variable was smoking status in males, and the same results were shown in females. The attitude score, drinking status and close friends’ smoking status were factors that influenced smoking in males and the knowledge score, the attitude score, drinking status, close friends’ smoking and siblings’ smoking in females.

Conclusion : If we apply these results in school-based anti-smoking program, it will be an effective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초록
연구배경 : 성인층의 흡연이 감소하는 반면 청소년층의 흡연은 날로 증가하고 있고 특히 청소년기의 흡연은 약물남용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많은 질병의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어 심각한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 금연프로그램은 필수적이고 대상이 되는 청소년들의 흡연과 관련된 요인의 분석 결과는 금연프로그램에 구성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방법 : 1999년 6월 한달 동안 일개 시에 소재하는 고등학교 중에서 금연사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6개 고등학교 1학년 1,5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중 누락된 설문내용이 없는 1,380명(남:862명, 여:518명)을 대상으로 성별과 흡연습관별(비흡연, 가끔 흡연, 자주 흡연)로 구분하여 흡연실태와 관련요인을 분석하였다.

결과 : 남학생의 흡연율은 40.1%이었고 여학생의 흡연율은 17.6%이었다. 흡연습관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신장, 체중, 부모의 교육수준, 아버지의 직업 중에서 남학생의 경우 키가 클수록 흡연하는 결과를 보였고 여학생은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높은 학생들이 더 흡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위 사람들의 흡연에 대한 영향에 있어서는 남학생의 경우 형제자매, 친한 친구의 흡연이 흡연습관에 영향을 주었고 여학생의 경우도 같은 결과였다. 남녀학생 모두 음주를 하는 사람들이 흡연도 많이 하는 결과를 얻었다. 지식과 태도점수의 전체평균은 1.39, 1.32이었고 남학생의 경우 흡연 습관에 따라 지식과 태도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여학생은 태도점수에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성별로 지식과 태도점수를 비교 하였을 때 남학생이 유의하게 점수가 높았다. 흡연습관에 대한 지식, 태도의 관계와 태도에 대한 지식의 관계를 조사하였는데 남학생은 지식과 태도를 동시에 고려했을 때 지식은 음의 관계를 가지고 태도는 양의 관계를 가지며 지식은 태도에 대해서 양의 계수를 가진다. 여학생의 경우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같은 결과를 얻었다. 학생의 흡연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에서 남학생은 태도점수, 음주습관, 친한 친구의 흡연이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고 여학생은 지식, 태도, 음주습관, 친한 친구의 흡연, 형제자매의 흡연이 흡연여부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 일개 시의 6개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흡연관련요인은 위와 같은데 조사대상자들이 속한 집단에 금연교육을 실시할 때 이 결과를 금연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이를 조사대상자들에게 실시하면 더욱 효과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리라 본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