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9;20(12):1697-1708.
Published online December 1, 1999.
Professional satisfaction of family physicians in south korea.
Jae Ho Le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Taejon St, Mary Hospital.S. Korea.
가정의학 전문의의 직업만족
이재호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가정의학과
Abstract
Background
: Physicians’ satisfaction with their professional life influences the quality of patient care they provide and helps to determine the number and type of students attracted to the various fields of medicine. In South Korea, two decades have passed already since the introduction of family medicine. But, S. Korean health policy has not developed a strong plan a strong plan to control a high medical cost and ineffective utilization of medical resources. Additionally, the number of students applying for family medicine is less than that for internal medicine or pediatr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ineate factors relation to professional satisfaction among family physicians in South Korea.

Methods : The subjects were 840 family physicians who had been trained formally and registered to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Physicians.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by three mailings during March 18 to May 24 in 1998.

Results :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received from 292 South Korean family physicians. With respect to income, there showed ‘satisfaction in 31.4%, ‘middle’ 47%, and ‘dissatisfaction’ 20.5%(no response 1.0%). Three periods of certification acquisition(P=0.001), four practice types(P=0.005), and three degrees of training satisfactioni(P=0.003) had significantly different degrees of satisfaction. In the aspect of pride as a family physician, there showed ‘high’ in 42.1%, ‘middle’ 45.8%, and ‘low’ 10.9%(no response 1.2%). In the aspect of future view as a family physician, there showed ‘bright‘ in 40.6%, ‘middle’ 40.6%, and ‘dark’ 17.6%(no response 1.2%).
After confounding variables were controlled, practice types(faculty family physicians rather than private practitioners) (P=0.003), the degree of training satisfaction(P=0.001, positive relationship), and the number of patients encountered per an hour(P-0.0098, positive relationship) were significant variables of the degree of general professional satisfaction.

Conclusion : Though standard measure of professional satisfaction have not been developed, this survey result seems to help understand factors relating to professional satisfaction of S. Korean family physicians. This information may be useful in the development of policy to structure a primary care oriented health care system in S. Korea.( J Korean Acad Fam Med 1999;20:1697-1708)
초록
연구배경 : 가정의학이 국내에서 하나의 전문영역으로 태동한지 어언 20년이 되어가지만, 그간 한국의 의료현실은 의사들 특이 일차의료의사들에게는 현실적으로 불리하게 작용해 온 것이 사실이다. 게다가, 일차의료를 정책적으로 육성하는 세계 보건의료의 추세와는 다르게, 한국에서는 일차의료에 대한 제도적인 배려가 거의 없는 상태이다. 일차의료 의사의 직업만족도를 보장하는 것은 일차의사 수를 적절하게 유지하기 위한 핵심적인 사항이다. 저자는 가정의학과 의사들의 직업 만족도가 어느 정도이며, 그러한 직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가정의학회 등록 전문의 2067명을 대상으로 1998년 3월 - 6월 우편 설문조사한 자료 중 정규수련군 응답자(40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설문의 내용은 총 15문항으로, 직업만족도에 관한 세 문항(수입, 긍지, 미래전망)은 각각 5-point Likert scale로 구성되며, 전만적인 직업만족도는 이 3항목을 합산한 0-12점의 척도(Cronbach's alpha=0.68)를 이용하였다. 통계분석은 Chi-square 검정과 다단계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 3회 우편설문조사의 회신율은 48.1%로 나타났다. 연령별, 성별, 지역별 분포에 있어서 의료보험연합회 및 의사협회 자료와 비교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입에 있어서, ‘만족’ 31.4%, ‘보통’ 47%, ‘불만족’ 20.5%로 나타났다. 전문의 자격취득시기별(P=0.001), 근무형태별(P=0.005), 수련만족도별(P=0.003)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개원군에 있어서도 전문의 자격취득시기별로 유의한 차이(P=0.015)가 있었지만, 수련만족도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159), 의원 명칭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서(P=0.009), '-가정의학과‘군의 수입 ’만족‘ 비율이 가장 높았고(42.9%), ’-의원‘군이 가장 낮았다(17.1%). 긍지에 있어서, 높음 42.1%, 보통 45.8%, 낮음 10.9%로 타나났다. 전문의 자격취득시기별(P=0.001), 성별(P=0.033), 근무형태별로(P=0.002), 수련 받았던 병원의 규모별(P=0.017), 그리고 수련만족도별(P=0.001)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미래 전망에 있어서는, 밝음 40.6%, 보통 40.6%, 어두움 17.6%이었고, 전문의 자격취득 시기별(P=0.03), 근무형태별(P=0.026), 그리고 수련만족도별(P=0.001)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교란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개원의보다 교직의가(P=0.03), 수련만족도가 높을수록 (P=0.0001), 시간당 진료환자수가 많을수록((P=0.0098) 직업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객관적인 직업만족도 측정도구가 인정되지 않은 상태이지만, 본 연구를 통해서 가정의학과 전문의의 직업과 관련된 여러 가지 요인들을 파악하고 현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