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9;20(4):377-385.
Published online April 1, 1999.
The relationship between grip strength and femoral and vertebral bone mineral density in peri-and postmenopausal women.
Sun Myeong Ock, Whan Suk Choi, Chan Hee Song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폐경 후 및 폐경 주변기 여성에서 악력과 척추 및 대퇴부 골밀도와의 연관성
옥선명, 최환석, 송찬희
Abstract
Background
: It is widely accepted that muscle strength and bone mineral density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most previous literature focus on the association between specific muscle groups and adjacent bones.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of grip strength with bone density at distant sited, such as spine and femur area in peri- and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 The study subjects were 30 perimenopausal and 108 postmenopausal women aged 40 years and older. Bone mineral density was measured at the lumbar spine and femoral area using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Grip strength was measured in both the dominant and nondominant hands using a dynamometer. Other data were gathered from the questionnaire.

Results :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ere noted between spinal and femoral bone mineral density and age and postmenopausal duration, a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spinal and femoral bone mineral density and body weight, height, body mass index and both grip strength. Those who exercised had significantly higher spinal bone mineral density than those who did not and smokers had significantly lower spinal bone density than nonsmoke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ne mineral density by estrogen and calcium use.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xamined the association of grip strength in the dominant hand to bone mineral density after adjustment for the confounding covariates.

Conclusion : Weak grip strength in the dominant hand is a marker for lower bone mineral density in peri- and postmenopausal women. Grip strength can be a useful index of osteoporosis.
초록
연구배경 : 근력과 골다공증은 연관성이 있으며, 특히 골밀도와 주위 근육의 양성의 관계는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골밀도와 원위의 근력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므로, 이 연구에서는 폐경 후 및 폐경 주변기 여성에 있어 악력과 척추 및 대퇴부의 골밀도 사이의 연관성을 보고, 골다공증 위험예측인자로서의 악력의 유용성을 조사하였다.

방법 : 1997년 6월부터 1998년 9월까지 의정부 소재 일개 대학병원에서 척추 및 대퇴부 골밀도를 실시한 40세 이상의 폐경 후 혹은 폐경 주변기 여성 중 속발성 골다공증과 연관된 질환을 가지고 있거나, 골다공증과 연관된 약물을 복용 중인 여성을 제외한 138명을 대상으로 건강습관에 대한 설문조사 및 비만도, 양손 악력을 측정하여, 골밀도와의 연관성을 보았다.

결과 : 나이, 폐경 후 기간은 각 부위의 골밀도와 음성의 상관관계를, 몸무게, 키, 체질량 지수, 그리고 양손의 악력은 양성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흡연을 하는 경우 척추 골밀도가 유의하게 낮았고,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경우의 척추 골밀도는 유의하게 높았으나, 대퇴부의 골밀도는 차이가 없었으며, 여성호르몬과 칼슘 복용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유의하게 나타낸 변수들의 교호작용을 보정 후에도, 주로 사용하는 손의 악력은 각 부위의 골밀도와 양성의 연관성을 나타냈다.

결론 : 폐경 후 및 폐경 주변기 여성에서 주로 사용하는 손의 악력이 약한 여성들은 낮은 골밀도로 인한 골다공증의 가능성이 높다. 또한 주로 사용하는 손의 악력은 골다공증 위험예측인자로 유효하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