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7;18(5):501-510.
Published online May 1, 1997.
The Distribution Pattern and Related Factors of Waist-to-Hip Ratio in Middle Aged.
Seong Won Kim, Hye Soon Park, Chul Ju Kim
중년 남 , 녀에서의 복부 - 둔부 둘레비의 분포 양상 및 관련 인자
김성원, 박혜순, 김철주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가정의학교실
Abstract
Background
: The regional fat distribution is known to be related with some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dependently to total body fat amount. Regional fat distribution pattern can be assessed by waist-to hip ratio(WHR). WHR distribution patterns depend on age, sex, race and show regional difference. But, our own unique data are inadequate, so we tried to investigate distribution patterns, cut off points and related factors of WHR in middle aged men and women among Korean.

Methods : The study population were middle aged men and women above 40 years old who visited our hospital for routine check up from April to July, 1996. We measured height, weight, blood pressure, waist circumference, hip circumference, fasting blood sugar and total cholesterol in 1, 000 persons. We gathered data about diet habits, exercise, smoking and drinking status by standard questionnaire. We analized above data by using SAS for Window 6.10.

Results : The study population numbers of men and women were494 and 499, and average ages of men and women were 49.3% and 50.5 years respectively. For men, the average WHRs as a whole were 0.895, and 0.893, 0.893 and 0.911 in their forties, fifties and above sixties respectively. For women, the average WHRs as a whole were 0.827, and 0.816, 0.837 and 0.850 in their forties, fifties and above sixties respectively. The percentage above WHR 1.0, 0.95, and 0.90 in men were 2.4%, 11.7% and 46% and the percentage above WHR 0.90, 0.85, and 0.80 in women were 8.2%, 32.9% and 68.7%. Adjusting by age, body mass index, WHR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weight,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in men only. For men, WHR was associated with alcohol drinking positively and with exercise negatively. For women, WHR was associated with alcohol drinking and smoking status positively.

Conclusion : The WHR had a tendency to increase according to age. The 90th percentile points in men and women were 0.957 and 0.894 respectively. WHR was related with several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several life styles.
초록
연구배경 : 체지방량과 독립적으로 국소 지방 분포는 여러 동맥경화 위험 요인들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국소 지방 분포는 간단히 복부-둔부 둘레비로 알 수 있으며 이는 연령, 성별, 지역, 민족에 따라서 그 분포 양상이 다양하다. 그러나, 우리 나라 고유의 복부- 둔부 둘레비에 대한 자료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40대 이상의 한국인 중년 남, 녀에서 복부- 둔부 둘레비의 분포 양상, 분별점, 관련 인자들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6년 4월부터 6월까지 지역 및 직장 성인병 검진을 받은 40세 이상의 중년 남, 녀 1,0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신장, 체중, 혈압, 복부 둘레, 둔부 둘레를 측정하였으며, 생화학 검사를 통해 공복 혈당, 총콜레스테롤치를 얻었으며, 문진표로 식습관, 운동, 흡연, 음주 상태를 파악하였다. 자료 불충분으로 7명이 제외된 나머지 993명에 대해 SAS window 6.10을 이용하여 자료 처리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 남자는 494명, 여자는 499명이었고, 40대가 575명, 50대가 271명, 60대가 149명이었다. 남, 녀별로 각각 평균 연령은 49.3세, 50.5세, 평균 신장은 168cm, 156cm, 평균 체중은 67kg, 56kg, 평균 체질량지수는 23.7kg/㎡, 23.2kg/㎡이었다. 복부-둔부 둘레비의 평균치는 남자의 경우 전체 0.895, 40대, 50대, 60대에서 0.893, 0.893,0.911였으며, 여자의 경우 전체 0.827, 40대, 50대, 60대에서 9.816, 0.837, 0.850이었다. 복부-둔부 둘레비의 95,90,75 percentile은 남자에서 0.968, 0.957, 0.928, 여자에서 0.915, 0.894, 0.861이었다. 복부-둔부 둘레비의 분별치를 남자에서 각각 1.0, 0.95, 0.90으로 했을 때 대상자의 2.4%, 11.7%, 46.0%가 분별치를 넘었고, 여자에서 각각 0.90, 0.85, 0.80으로 했을 때 대상의 8.2%, 32.9%, 68.7%가 분별치를 넘었다. 연령과 체질량 지수를 보정한 상태에서 남자에서만 복부-둔부 둘레비와 체중,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남자에서는 음주 정도가 복부-둔부 둘레비와 양적인 관련성을, 운동과는 음적인 관련성을 보였고 여자에서는 음주와 흡연 여부가 양적인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결론 : 복부-둔부 둘레비는 남, 녀 모두에서 연령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90percentile에 해당하는 분별점은 남, 녀 각각0.957, 0.894에 해당되었다. 복부-둔부 둘레비는 몇몇 동맥경화 위험요인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고 일부 생활 습관에 따라 영향을 받았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