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8;29(3):182-188.
Published online March 10, 2008.
Association of TV Viewing and Computer Using Habits with Obesity and Obesity Related Lifestyles.
Mi Sook Kim, Ji Ho Choi, Ho Chol Shin, Kyu Jin Joo, Youk Jin Yoo, Hee Jung Ko, Hyuk Ga, Sae Ron Shin, Chang Hae Park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chool of Medicine, Inha University, Incheon, Korea. wisdom@inha.com
2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Medical Center, Incheon, Korea.
3Institute of Geriatric Medicine, Eun-Hye Hospital, Incheon, Korea.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에 있어서 텔레비전 시청 및 컴퓨터 사용 시간과 비만 및 비만 관련 생활습관과의 연관성

김미숙,최지호,신호철,주규진,유욱진,고희정,가혁,신새론,박창해
1
2
3
Abstract
Background
TV viewing and computer use are sedentary behaviors and recent surveys report that they are associated with obesity in children. Association of these activities with obesity or obesity related lifestyles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Methods: Using the database of questionnaires and physical check-ups among 4th to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Incheon, the association of television viewing and internet using time with obesity and obesity related factors (dietary habits, and physical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A total of 2,750 students (1,100 normal weighted/1,650 overweight or obese) were included. Results: In the multiple analyses of computer using time among the boys and girls in weekdays and weekend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ir obesity degree, except for overweight and obese boys in weekends (P<0.00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examine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revealed that children who watched TV more than 2 hours per day ate faster (OR 1.27), had breakfast more irregularly (OR 1.41) and ate vegetables more rarely (OR 1.53). The children who used computer more than 1 hour per day in weekdays were faster eaters (OR 1.38) and hardly ate fruits (OR 1.26) or vegetables (OR 1.60). In weekends, the children who spent time more than 90 minutes in the computer were faster to eat (OR 1.46), more snack eating (OR 1.22), less vegetable consuming (OR 1.59) and more obese (OR 1.46, 95%CI 1.24∼1.73) compared to the others. Conclusion: TV viewing and computer use were associated with several obesity related lifestyles in children. (J Korean Acad Fam Med 2008;29:182-188)
Key Words: childhood obesity, television, computer, risk factor, association
초록
연구배경: 저하된 신체활동은 비만의 위험인자이기 때문에 텔레비전 시청이나 컴퓨터 사용과 같은 비교적 정적인 여가활동은 비만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텔레비전 시청과 컴퓨터 사용시간이 비만 및 비만 관련 생활 습관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5년 인천광역시 소재의 5개의 구 교육청에서 초등학생 4학년에서 6학년들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한 설문조사와 신체 계측 자료 등을 바탕으로 정상체중 군과 과체중/비만 군을 각각 1,100명 및 1,650명을 선별하여 텔레비전 시청, 컴퓨터 사용시간과 비만과의 관계, 그리고 비만 관련 생활 습관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컴퓨터 사용 시간을 "정상체중 군"과 "과체중/비만 군"으로 나누어 각각 같은 성별로 나누어 t-test 로 비교하였을 때, 남학생의 주말 컴퓨터 사용 시간 사이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그 외의 경우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01). 텔레비전을 두 시간 이상 시청하는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식사 속도가 더 빨랐고[교차비(OR) 1.27, 95% 신뢰구간(CI) 1.08∼1.50] 아침식사를 덜 규칙적으로 하며(OR 1.41, 95%CI 1.16∼1.70) 채소의 섭취량이 적은 것으로(OR 1.53, 95%CI 1.21∼1.95) 나타났다. 주중에는 하루 60분 이상 컴퓨터를 사용한 군이 그렇지 않은 군보다 식사 속도가 더 빨랐고(OR 1.38, 95%CI 1.16∼1.65) 채소와 과일의 섭취량이 적은 것으로(OR 1.60, 95%CI 1.26∼2.04, OR 1.26, 95%CI 1.04∼1.53) 나타났다. 주말에는 하루 90분 이상 컴퓨터를 사용하는 군이 90분 미만으로 사용하는 군에 비해서 식사 속도가 더 빨랐고(OR 1.46, 95%CI 1.23∼1.74) 채소의 섭취량이 적었고(OR 1.59, 95%CI 1.23∼2.05) 간식 섭취 횟수는 많았으며(OR 1.22, 95%CI 1.04∼1.44) 과체중/비만 군의 비율이 높았다(OR 1.46, 95%CI 1.24∼1.73). 결론: 장시간의 텔레비전 시청과 컴퓨터 사용은 초등학생들의 비만 관련 생활 습관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다.
중심 단어: 소아 비만, 텔레비전, 컴퓨터, 위험 인자, 연관성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1,009 View
  • 23 Download
Related article in KJFM

The Association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Anemia in Patients with Gastritis.2003 February;24(2)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