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4;15(9):656-666.
Published online September 1, 1994.
A Study On Old-Aged Patients of the Rural Area.
Jong Il Kim, Baek Seung Lee, Kyung Ho Oh, Ho Ruyl Chun, Hying Woo Choi, Hye Hun Hwang
농촌지역 노인의 가족기능 고찰
김종일, 이백승, 오경호, 전호열, 최형우, 황혜헌
아산재단 정읍병원 가정의학과
Abstract
Background
: The number of the aged in rural community is recently increasing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economical and medical field has contributed to prolong life expectancy and the younger nowadays are moving into urban areas. This team study aims to focus on the influence of family resources upon family function through their family APGAR score by examining their family backgrounds : whether their spouses are alive or not, of what type their family is, whether they live together with their children or not, now many they are living with, if any, and much living expenses is, etc.

Methods :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questionnaires for 129 inpatients over 65 year old in Jung-Up and Bo-Sung Hospital of Asan Foundation during the period from Nov.1, 1993 to Feb. 28, 1994 and 100 healthy old people living near the above hospitals in the same villages. We have examined their influence on the family function by comparing the mean scores of each item of the family APGAR questionnaires with that of those concerning the type and affinity of family resources. The investigation has been made simultaneously by the attending physicians for the inpatients and by our team for the ordinary healthy group.

Results : Mean family APGAR scores for each group show a meaningful difference as follows : the inpatients' 4.25±2.85 family APGAR was, the healthy's family APGAR was 5.66±1.78(P<0.001). The amount of living costs does not affect the family APGAR score between inpatient and healthy groups. In comparison between the old with their spouse and the spouseless, the result shows a significantly high old one whose spouse is alive(Inpatient;P<0.001, Healthy ; P<0.05), and we got the lower score in a single one whose duration of being single is longer(Inpatient ; P<0.01, Healthy ; P<0.001). In view of the existence of any family member, the old who live alone(single family show a low score than who live with their spouse, child or both(P<0.001). But the old who live with their spouse, with children or with both does not show an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Family APGAR score among them(Inpatient; P>0.05, Healthy ; P>0.05).

Conclusion : Through this study, the amount of living expenses reflects little influence upon the family APGAR score, but whether live with(regardless spouse, their child or both) or without, whether their spouse are allive or not, and in case if widower or widow(spouseless), the duration of being single reflect much more influence upon the family function. The spouse group shows better family function(P<0.05) than the spouseless group and family function lessens when the death of one's spouse marks a longer period and the living alone(single family) comparatively convey lower family function.
초록
연구배경 : 사회, 경제, 의학의 발달로 수명이 연장되어 노인 인구가 증가 추세에 있고 젊은이들이 도시지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농촌지역의 노령화가 심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농촌지역 노인의 가족기능과 이들이 활용가능한 가족자원으로서 배우자의 생존여부, 동거자녀의 수 및 가족 유형, 경제적 의존 정도 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노인 가족의 가족기능도 지수를 측정해서 가족 기능 정도를 파악하여, 어떤 가족 자원이 가족 기능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1993년 11월 1일부터 1994년 2월 28일까지 아산재단 정읍병원과 보성병원의 내과에 입원한 65세 이상의 노인 환자 129명과, 같은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건강 노인 10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한 조사를 시행하였다. 가족자원의 유형과 규모에 대한 항목과, 아울러 가족기능 평가 방법 중에서 가족기능지수 질문지(Family APGAR Questionnaire)항목을 포함한 조사를 실시하여 지수를 비교하는 방법으로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본 조사에서 입원환자는 주치의가 대신 대답을 적고, 병원 주변에 거주하는 건강 노인에 대해서는 저자들이 방문하여 질문에 대한 대답을 대신 적는 방법으로 조사를 하였다.

결과 : 양 군간의 평균 가족 기능도 지수는 입원군에서 4.26±2.85, 건강군에서 5.66±1.78로서 서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월 생활비 규모와 가족 기능도 지수의 관계에서는 입원군(P>0.5), 건강군(P>0.5)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배우자 생존 유무와 가족 기능도 지수관계에서, 입원군과 건강군에서 모두 배우자의 생존시 가족기능도 지수가 사망한 경우에서보다 유의하게 높았고(입원군P<0.001, 건강군 P<0.005), 배우자 사망이 오래된 경우일수록 가족 기능도 지수가 유의하게 낮았다(입원군 P<0.01, 건강군 P<0.001). 동거유형과 가족 기능도 지수관계를 보면 입원군과 건강군 모두에서 노인 혼자 사는 경우(단독 가정) 동거인이 있는 경우에 비해 가족 기능도 지수가 유의하게 낮았다(P<0.001). 그러나 배우자만, 자녀만 혹은 배우자와 자녀가 같이 동거하는 등 동거인이 있는 경우에는 각 동거유형간에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입원군 P>0.05, 건강군 P>0.05).

결론 : 본 연구에서 가족 기능도 지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가족자원중 생활비의 많고 적음은 가족기능에 별다른 영향이 없었으며(P>0.5), 배우자가 생존한 경우에서 배우자가 사망한 경우보다 가족기능이 유의하게 높았고(P<0.05), 또한 사망한 햇수가 오래될수록 가족기능이 유의하게 낮았으며(P<0.01), 동거 가족이 없이 홀로 사는 경우 가족기능은 유의하게 낮았으나(P<0.01), 동거가족이 있는 경우의 가족 기능은 동거 대상이나 동거 가족수, 가족유형에 관계없이 비슷하였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