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6;27(3):190-200.
Published online March 10, 2006.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the Metabolic Syndrome among Local Residents Aged 45 or over in Chuncheon: Hallym Aging Study.
Young Ho Choi, Jin Young Jeong, Kyoung Seob Kwak, Sung Hyun Kang, Soong Nang Jang, Yong Jun Choi, Yoo Sun Moon, Yun Ki Kim, Hyuk Sung Kwon, Kyung Soon Hong, Moon Gi Choi, Hai Rim Shin, Dong Hyun Kim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hunchon Sacred Heart Hospital,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huncheon, Korea.
2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unchon Sacred Heart Hospital,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huncheon, Korea.
3Hallym Institute of Aging Research, Chuncheon, Korea.
4Department of Statist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Natural Sciences, Seoul, Korea.
5Departments of Social and Preventive Medicine,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Hallym Health Services Research Center, Chuncheon, Korea. dhkims@hallym.ac.kr
6National Cancer Center, Ilsan, Korea.
춘천 지역 중년 및 노인에서의 대사증후군의 유병률과 관련위험요인: 한림노년연구
최영호,정진영,곽경섭,강성현,장숙랑,최용준,문유선,김윤기,권혁성,홍경순,최문기,신해림,김동현
1
2
3
4
5
6
Abstract
Background
: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Chuncheon city in those ages 45 and over an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risk factors and the risk of the metabolic syndrome.

Methods : The subject of this study included 662 adults (males 276, females 386) aged 45 years or over who lived in Chuncheon city. The metabolic syndrome was defined as having 3 or more conditions including abdominal obesity, high blood pressure, low HDL cholesterol, high triglyceride, and high fasting glucos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metabolic syndrome and its life-style related factors, such as smoking, exercise, and drinking, was examined, us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 The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from ATP III criteria was 30.1% in men, and 37.9% in women. The prevalence increased with age in women. In men, however, the prevalence increased to 55∼64 age group and then it gradually decreased. The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from Asia-Pacific criteria was 48.2% in men, and 46.6% in women. The prevalence increased with age in men and decreased in women. The highest prevalence among the individual components of diagnostic criteria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men was hypertension, followed by abdominal obesity, hypertriglyceridemia, low HDL-cholesterolemia, and high fasting blood glucose. And in women, it was abdominal obesity, followed by hypertension, low HDL cholesterolemia, hypertriglyceridemia, and high fasting blood glucose. After adjusting for potential covariates, current smoker was 1.93 times at a greater risk for the metabolic syndrome than non-smokers (95% confidence interval 1.06∼3.51).

Conclusion : The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was higher than previously reported in Korea. Further studies are strongly needed to elucidate the factors which are related to the syndrome and to develop effective prevention guidelines, especially among the elderly.
Key Words: metabolic syndrome, prevalence, elderly
초록
연구배경 : 근래에 대사증후군은 전 세계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특히 비서구 계열, 아시아 지역에서 두드러지게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비만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대사증후군의 높은 유병률이 주요 보건학적인 문제로 대두하고 있어, 이에 관한 역학적 연구의 수행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 사회 거주민에서 무작위로 추출된 45세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대사증후군 유병률을 추정하고, 어떠한 요인들이 대사증후군의 유병수준과 관련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춘천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45세 이상 주민 중 무작위로 선정된 지역에서 계통추출된 1,514명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대상자 중 검사에 응한 922명 중에서 대사증후군 진단에 필요한 다섯 가지 항목에서 하나라도 누락된 260명을 제외하고, 662명(남자 276명, 여자 386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대사증후군은 복부 비만, 높은 혈압, 저HDL 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방혈증, 고혈당증 중 세 가지 이상의 소견을 보이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대사증후군과 각 구성요소들의 유병률을 추정하였으며, 다중 로지스틱 회귀 모형을 사용하여 나이, 교육수준, 사회경제적 수준, 흡연, 음주, 그리고 운동과 대사증후군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 ATP III의 기준을 적용한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남자 30.1%, 여자 37.9%였으며, 여자는 연령에 따라 유병률이 증가하였고, 남자는 55∼64세에 정점을 이룬 후 점차로 감소하였다. 아시아/태평양 기준을 적용한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남자 48.2%, 여자 46.6%였으며 남자는 연령 증가와 함께 유병률이 감소하였고 여자는 연령증가와 함께 유병률이 증가하였다. 대사증후군 진단기준별 유병률은 남성에서 높은 빈도부터 고혈압, 복부비만, 고중성지방혈증, 저HDL-콜레스테롤혈증, 고혈당의 순이었고, 여성에서는 높은 빈도부터 복부비만, 고혈압, 저HDL-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방혈증, 고혈당의 순이었다. 다른 요인의 영향을 보정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현재 흡연의 경우 비흡연자에 비해 1.93배 대사증후군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95% 신뢰구간 1.06∼3.51).

결론 : 본 연구에서 조사한 중년 및 노년층에서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이전 보고에 비해 훨씬 높고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나, 적극적인 선별 조사를 통해 체계화된 예방적 관리가 필요하다 하겠다.
중심 단어: 대사증후군, 유병률, 노인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