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5;26(8):470-480.
Published online August 10,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Breast-Feeding and Obesity in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s in Seoul.
Sang Hwan Kim, Ji Won Lee, Duk Chul Le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Yongdong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faith@yumc.yonsei.ac.kr
서울지역 일부 학동기 초기 소아에서 모유수유와 비만과의 관련성
김상환,이지원,이덕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영동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Abstract
Backgrou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valence of obesity based on body mass index data and to assess the long-term effect of breast feeding on obesity among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s.

Methods : A total of 997 children in 1st grade were recruited from 3 public primary schools in Gangdong-gu and 1 private primary school in Nowon-gu, Seoul. A questionnaire was used to gather demographic background and lifestyle-related information infant feeding methods and duration.

Results : There were 101 boys (24.6%) and 100 girls (25.0%) identified as an obese group (BMI ≥85 percentile). The birth weight was higher in the obese group (3.34±0.46kg) than in the normal body mass index group (3.24±0.43kg). The parental body mass index was higher in the obese group than the normal group. Average hours of daily watching TV, video or computer use was higher in the obese group (2.2±1.2) than in the normal body mass index group (2.0±1.0). In the obese group, children ate more than the normal group. After adjusting for potential confounding factors, there seemed to be some risk reduction for obesity in the breast fed group for at least 7 months, compared to the never breast fed group, but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 Whether child was breast fed or not nor the duration of breast feeding did not seem to reduce the risk of developing obesity.
Key Words: breast feeding, child, obesity, body mass index
초록
연구배경 : 모유수유와 소아비만과의 관련성은 아직도 많은 논란이 있다. 본 연구는 후향적 조사연구로 초등학교 학생들의 비만을 체질량지수 분류별로 나누어 파악하고, 과거 모유수유 여부가 소아비만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전체 연구대상자는 997명으로, 서울시 강동구 소재의 3개 공립 초등학교와 노원구 소재 1개 사립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학생들의 인구, 사회학적인 변수와 생활습관 관련 변수, 수유방법, 수유 기간 등의 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총 21문항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 대상자들에서 비만군(체질량지수 85백분위수 이상)은 남학생 101명(24.6%), 여학생 100명(25.0%)이다. 출생체중(단위, kilogram)은 정상군 (3.24±0.43)에 비해 비만군 (3.34±0.46)에서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1). 부, 모 각각의 체질량지수에 대해서, 정상군에 비해 비만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01), 생활습관 관련요인에서는 일일 TV, 비디오, 컴퓨터 평균 사용시간이 정상군 (2.0±1.0)에 비해 비만군 (2.2±1.2)에서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2), 정상군보다 비만군이 운동학원 수강과 과식하는 식사습관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과식하는 식사습관, 부모의 체질량지수가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다. 그러나 대상자들에 있어 인구, 사회학적 특성과 생활 관련 요인들을 통제하였을 때 모유수유를 하지 않은 군에 비해 모유수유를 7개월 이상 한 경우 비만군의 교차비는 0.81 (95% 신뢰구간 0.47∼1.39)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결론 : 과거 모유수유 유무와 기간에 따른 비만의 발생 감소를 확인할 수 없었지만, 모유수유의 장기적 이점과 관련된 소아비만과의 관련성은 의료비 절감 등의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에 향후 출생코호트 등 대규모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리라 본다.
중심 단어: 모유수유, 소아, 비만, 체질량지수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