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3;24(7):634-641.
Published online July 10, 2003.
A Study Evaluating the Effect of Telephone Counselling on Smoking Performed by a Nurse Cessation: A Preliminar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Yoong Eun Kim, Yun Mi Song, Jung Kwon Lee, Hwee Soo Jung, Seok Cheol Kang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간호사가 시행한 금연 전화상담의 효과평가: 예비, 무작위 대조임상시험
김융언,송윤미,이정권,정휘수,강석철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Abstract
Background
: Smoking is well known as an important preventable risk factor contributing to mortality and morbidity. Telephone counseling might be one of adjunctive interventions for smoking cessation. We evaluated whether telephone counseling performed by a nurse could improve smoking cessation rate.

Methods : Study subjects were 152 male smokers who visited family practice in one tertiary hospital between November 2001 and January 2002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fter completing a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subjects received self-help materials and were randomly assigned into either an intervention or control group. A well-trained nurse provided telephone counseling only to experimental group at 8th and 17th week of follow-up. The 25-week smoking cessation rates were checked in both groups by telephone call.

Results :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o- demographic and smoking-related characteristics between intervention, control, and non-participants groups. Intention-to-treat smoking cessation rate at 25th-week of follow- up was 21.1% in control, 25.0% in intervention group and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each other. Smoking cessation rate according to the baseline stage of change toward quit smoking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each other.

Conclusion : The telephone counseling performed by a nurse was not significantly effective for improving smoking cessation rate in this study.
Key Words: telephone counseling, smoking, stage of change
초록
연구배경 : 흡연은 암을 비롯한 주요 만성질환의 유병률과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교정 가능한 주요 건강위험요인으로, 건강증진영역에서 금연은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많은 흡연자들이 시도하고 있는 자발적인 금연 방법은 성공률이 낮아서 여러 가지 보조수단을 통해 금연율을 높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중 전문상담원에 의한 전화상담은 금연율을 높이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되는 보조수단이지만 한국인에서 그 효과가 입증된 바가 없어, 본 연구에서는 가정의학과 외래를 방문한 남자 흡연자를 대상으로 간호사에 의한 금연 전화상담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방법 : 무작위 대조임상시험으로, 2001년 11월 20일부터 2002년 1월 7일 사이에 서울에 위치한 일개 삼차진료기관 가정의학과에서 통원진료를 받는 남자 흡연자 193명 중 연구에 참여할 것을 동의한 152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시작시기에 연구대상군 모두에게 사회인구학적 특성, 흡연 습관 및 금연변화단계를 묻는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금연교육자료를 나누어 준 후, 이들을 실험군(76명)과 대조군(76명)으로 무작위 할당하여, 실험군에게만 8주와 17주째에 훈련된 간호사가 금연 전화상담을 실시하였다. 25주째에 연구대상군 모두에게 전화를 하여 금연여부를 조사하였다.

결과 : 연구시작시기에 조사된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흡연습관은 실험군, 대조군, 연구 불참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 시작 시의 대상군 전부에서 측정한 25주째 최종 금연율은 실험군 76명 중 19명(25.0%), 대조군 76명 중 16명(21.1%)으로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시작 전의 금연변화단계에 따른 금연율은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간호사에 의한 금연전화상담은 금연율을 유의하게 증가시키지 못했다.
중심 단어: 전화상담, 흡연, 변화단계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1,072 View
  • 19 Download
Related article in KJFM

Effect of Patient Empowerment Model on Smoking Cessation: Randomized Controlled Trial2021 September;42(5)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