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2;23(12):1423-1431.
Published online December 10, 2002.
Effects of Dietary Antioxidant Vitamins and Fiber on the Risk of Myocardial Infarction.
Ju Hye Chung, Chang Jin Choi, Kang Sook Lee, Chin Eun Chung, Kyung Soo Kim, Hyo Seok Ahn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Medical College of Catholic University, Korea. fmchcj@catholic.ac.kr
2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Medical College of Catholic University, Korea.
3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Ansan College, Korea.
항산화비타민과 섬유소 섭취에 따른 심근경색증의 발생 위험 연구 Effects of Dietary Antioxidant Vitamins and Fiber on the Risk of Myocardial Infarction
정주혜,최창진,이강숙,정진은,김경수,안효석
1
2
3
초록

연구배경 : 서구에서는 대규모 역학연구를 통해 관상동맥질환과 항산화비타민 및 섬유소와의 관련성이 보고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관상동맥질환과 일부 식이요인에 대한 소수의 단면연구만이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비타민과 섬유소를 중심으로 식이요인을 조사하여 심근경색증 발생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9년 7월부터 2001년 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부속병원에 내원한 급성심근경색증 남자 환자 102명과 대조군 112명을 대상으로 식품섭취빈도지를 이용하여 평소의 영양섭취량을 설문조사 후 1일 영양소 섭취량을 계산하였다. 기존의 관상동맥질환 위험인자를 파악하기 위해 과거력, 가족력을 설문조사하였고 신체계측, 혈압 측정과 생화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급성심근경색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항산화비타민인 비타민 C와 비타민 E, 섬유소의 열량 당 섭취량이 적었다(P<0.05). 항산화비타민 및 섬유소의 섭취량을 4군으로 나누어 심근경색증 발병에 대한 교차비를 구한 결과, 4분위를 섭취할 경우 1분위에 비해 비타민 A는 0.41 (95% CI 0.18∼0.90), 비타민 C는 0.33 (95% CI 0.15∼0.75), 비타민 E는 0.89 (95% CI 0.41∼1.94), 섬유소는 0.27 (95% CI 0.12∼0.63)의 교차비를 보였다.

결론 : 중장년층 남성에서 항산화비타민과 섬유소가 풍부한 식품을 섭취하는 것이 심근경색증 예방 관련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의 전향적 코호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중심 단어: 항산화비타민, 섬유소, 급성심근경색증, antioxidant vitamin, fiber, myocardial infarction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834 View
  • 13 Download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