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1;22(12):1757-1764.
Published online December 1, 2001.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men with normal and overweight according to waist-to-height ratio.
Oh Hyun Kwon, Keun Mi Lee, Tae Maeng No, Hee Young Kim, Seung Wook Hwang, Seung Pil Jung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Medical Center, Korea.
2Department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Korea.
정상 및 과체중인 성인 남성에서 허리둘레 / 신장비에 따른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의 평가
권오현, 이근미, 김희영, 황승욱, 정승필, 노태맹
1
2
Abstract
Background
: Abdominal obesity is a risk factor for morbidity and mortality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disease. It has been reported that metabolically obese is common even in normal weight individuals. In this study, we analysed characteristics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normal and overweight men using waist-to-height ratio to find out whether it reflects such risks.

Methods : Study subjects were 516 men.(18.5≤BMI<30.0) According to BMI and waist-to-height ratio(W/Ht), the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 Group 1; 18.5≤BMI<25.0, W/Ht<0.5, Group 2;18.5≤BMI<25.0, W/Ht≥0.5, Group 3; 25.0≤BMI<30.0, W/Ht<0.5, Group 4; 25.0≤30.0, W/Ht≥0.5. The prevalence, Odds ratio for cardiovascular risk factors were compared.

Results : In normal weight group,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P<0.01), high blood glucose(P<0.01), hypercholesterolemia(P<0.05), hypertriglyceridemia(P<0.01)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1 than gorup 2. In overweight group, the prevalence of hypercholesterolemia(P<0.01), low HDL(P<0.01)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4 than group 3. When compared Odds ratio for each groups with reference to group 1, adjusted for age, smoking status and regular exercise, high blood glucose(4.48), hypertriglyceridemia(5.91) in group 2, hypertension(3.54), hypertriglyceridemia(3.44) in group 3, hypertension(2.90), hypertriglyceridemia(3.81), low HDL(2.60) in group 4 were significantly higher.

Conclusion : Waist-to-height ratio may be a useful method for early detection of abdominal obesity and it's related risk factors in normal and overweight individuals.
초록
연구배경 : 복부 비만은 심혈관질환의 이환율 및 사망률에 있어서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정상 체중에서도 대사적 비만 상태는 드물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 체중 및 과체중인 성인 남성에서 허리둘레/신장비에 따른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의 특성과 허리둘레/신장비의 실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01년 5월 22일부터 7월 6일까지 영남대학교의료원에서 종합건강검진을 받은 만 20-65세의 성인 남성 516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지 검토와 신체계측, 혈압, 공복 혈당, 혈청 지질대사치를 측정하였다. 대상자를 1군; 18.5≤BMI<25.0, 허리둘레/신장비<0.5, 2군; 18.5≤BMI<25.0, 허리둘레/신장비≥0.5, 3군; 25.0≤BMI<30.0, 허리둘레/신장비<0.5, 4군; 25.0≤BMI<30.0, 허리둘레/신장비≥0.5의 네군으로 분류하여 정상체중군 및 과체중군에서 허리둘레/신장비에 따른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의 유병률의 차이와 1군을 기준으로 한 비차비를 분석하였다.

결과 : 심혈관질환의 유병률은 정상체중군에서는 1군에 비해 2군에서 고혈압(P<0.01), 고혈당(P<0.01), 고콜레스테롤혈증(P<0.05), 고중성지방혈증(P<0.01)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과체중군에서는 3군에 비해 4군에서 고콜레스테롤혈증(P<0.01), 위험범위의 고밀도 지단백(P<0.01)의 유병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1군을 기준으로 연령, 흡연유무, 규칙적인 운동상태를 보정한 각 군에서의 비차비는 2군에서는 고혈당(4.48), 고중성지방혈증(5.91), 3군에서는 고혈압(3.54), 고중성지방혈증(3.44), 4군에서는 고혈압(2.90), 고중성지방혈증(3.81), 위험범위의 고밀도 지단백(2.60)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허리둘레/신장비는 간단하고 실용적인 복부비만의 지표가 될 수 있으며 특히 정상체중 및 과체중에서도 허리둘레/신장비가 높은 경우 대사 합병증에 대한 더욱 주의 깊은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891 View
  • 11 Download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