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1;22(10):1503-1510.
Published online October 1, 2001.
Recognition of tabacco health warning labelling in korean family physicians.
Tong Hyun Roh, Hong Gwan Seo, Cheol Hwan Kim, Shin Hung Kim, Mi Lyou, Eon Sook Lee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eoul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2Se-Won Health Promotion Clinic.
가정의의 담배 경고문구에 대한 인식
노동현, 서홍관, 김철환, 류미, 김신홍, 이언숙
1
2
Abstract
Background
: Tobacco health warning labelling as one of the smoking education act has been improved in many countries. But there was no change of tobacco health warning labelling after 1989 in korea. So, for the purpose to help developing new tobacco health warning labelling, we searched the recognition rate of tobacco health warning labelling in family physician and their evaluation of labels which were required form 1976 to 1988, and after 1989 in korea.
Method: Family physicians who were participated in autumn conference 2000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were questioned about their recognition and evaluation of tobacco health warning labelling required form 1976to 1988 and after 1989.

Results : Response rate to questionnaire was 25%(250/1000), but completely filled response rate included in study was 14.5%(145/1000). The recognition rate of tobacco health warning labelling required in 1976-1988(86.7%) was higher then after 1989(61.4%). When compared by sex, age, and smoking status, each results are similar. Respondents evaluated the tobacco health warning labelling required in 1976-1988 that the information was absolutely small and the vagueness of sentences lead smokers misconceived adverse effect of smoking, and also pointed out that the changed labelling after 1989 is not enough to transmit sufficient information. Respondents recognized that because government provided military personnel with tobacco of free charge, it decreased confidence and warning effect of tobacco health warning labelling(72.4%). Respondents answered active campaign of government against smoking would increase the effect of tobacco health warning labelling(92.4%), but the monopoly of tobacco production by government would support (local) government finance(75.9%).

Conclusion : New tobacco health warning labelling is needed to increase readability, warning, information against smoking, because present labelling is not recognized well and limited to give information against smoking.
초록
연구배경 : 국가의 금연정책의 일부분으로 시행되고 있는 담배 경고문구에 있어 여러 가지 다양한 발전이 세계 곳곳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나라 가정의들을 대상으로 담배 경고문구에 대한 인지도 및 평가를 조사하여 올바른 담배 경고문구를 마련하는데 보탬이 되고자 하였다.

방법 : 2000년 대한가정의학회 추계학술대회에 참가한 전국의 가정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설문지의 내용은 응답자의 성별, 연령, 흡연 여부, 담배 경고문구에 대한 인지, 1976년-1988년 담배 경고문구와 1989년 이후 담배 경고문구에 대한 평가, 국가의 금연정책이 담배 경고문구를 국민이 신뢰하도록 일관적이었는가에 대한 인식을 포함하여 총 17항목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 회수율은 25%(250/1000)이었고, 이중 모든 항목에 충실히 답변하여 연구대상으로 삼은 설문지는 14.5%(145/1000)였다. 대상이 된 가정의들의 대략적인 20세 이상 성인 흡연율은 1976년-1988년에는 19.3%, 1989년-현재에는 22.1%로 나타났다. 담배 경고문구에 대한 인지도는 1989년-현행 문구(61.4%)보다 과거의 1976년-1988년 문구(86.7%)에 대한 인지도가 오히려 높았으며, 흡연자와 비흡연자 간 인지도(85.2%, 87.2% ; P<0.001)에는 차이가 없었다. 1976년-1988년 담배 경고문구의 평가는 정보 전달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며 문장의 모호함으로 인해 흡연자들에게 잘못된 인식을 심었다고 평가되었고, 1989년-현재의 문구도 정보 전달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국가가 군인에 대해 담배를 무상으로 제공을 함으로써 담배 경고문구의 신뢰성과 경고성을 떨어뜨렸다고 가정의들은 인식하고(72.4%), 국가의 적극적인 금연 정책의 실천이 담배 경고무구의 흡연 억제 효과를 높일 것으로 생각하였다(92.4%).

결론 : 현행 담배 경고문구의 인지도가 낮고, 정보 전달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 것으로 볼 때 가독력, 경고성 및 정보 전달력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형식과 내용의 담배 경고문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