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 between test anxiety and family adaptability, cohesion of high school students. |
Cheol Ho Park, Yun Sub Yang, Myoung Ae Park, Young Woo An, Joo Sung Park |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Dong A University Hospital, Korea. |
고등학생에 있어서 시험불안과 가족적응력,결속력과의 상관관계 |
박철호, 양윤섭, 박명애, 안영우, 박주성 |
동아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
|
|
Abstract |
Background : As Koreans have had great enthusiasm for education traditionally, most students have excessive anxiety about tests and such anxiety may cause several physic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But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st anxiety and family function.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est anxiety and family function in order to treat and educate patents who have excessive test anxiety.
Methods : In a survey study, the Korean Version of Test Anxiety Inventory and Olson's FACESIII was administered to the 220 second year high school students of a single high school who live in Pusan. Two groups of students with high and low test anxiety levels (52 in each group) were selected based on the test anxiety scale ratings and analysis of their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Results : In FACES III adaptability of high test anxiety group, there were 15 cases(28.8%) for rigid, 23 cases(44.2%) for structured, 11 cases(21.2%) for flexible and 3 cases(5.8%) for chaotic familes. In that of low test anxiety group, 2 cases(3.8%) for rigid, 16 cases(30.8%) for structured, 24 cases(46.2%) for flexible and 10 cases(19.2%) for chaotic familes. In FACES III cohesion of high test anxiety group, there were 2 cases(3.8%) for disengaged, 14 cases(26.9%) for separated, 20 cases(38.5%) for connected and 16 cases(30.8%) for enmeshed familes. In that of low test anxiety group 18 cases(34.6%) for disengaged, 22 cases(42.3%) for separated, and 8 cases(15.4%) for extreme familes. In that of low test anxiety group 24 cases(46.2%) for balanced, and 22 cases(42.3%) for mid-range and 6 cases(11.5%) for extreme familes.
Conclusion : Cohesion scale of high test anxiety group was higher than of low test anxiety group and adaptability scale of low test anxiety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high test anxiety group. |
초록 |
연구배경 : 우리 나라는 전통적으로 높은 교육열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으로 청소년들은 시험에 대해 과도한 불안감을 가지게 되어 여러 가지 신체적, 정신적 문제를 야기 하게 되는데, 현재 시험불안과 가족기능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시험불안과 가족기능이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아, 시험불안 환자의 치료 및 교육에 도움을 주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 1998년 6월 20일부터 7월 10일까지 부산시내 일개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고2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성실히 기재한 학생 220명을 대상으로 시험불안의 정도가 대략 상위 25%와 하위 25%에 해당하는 각각 52명을 설정하여 이들의 가족적응력, 결속력을 평가하였다. 시험불안은 Spielberger 등의 시험불안 검사(Test Anxiety Inventory), 가족 기능은 Olson의 가족적응력, 결속력 평가척도(FACES III)를 번역한 것을 이용하였다.
결과 : 가족의 적응력은 시험불안의 높은 군에서는 경직된 가족 15예(28.8%), 구조화된 가족 23예(44.2%), 유연한 가족 11예(21.2%), 혼란한 가족 3예(5.8%)이었으며, 시험불안이 낮은 군에서는 경직된 가족 2예(3.8%), 구조화된 가족 16예(30.8%), 유연한 가족 24예(46.2%), 혼란한 가족 10예(19.2%)이었다. 가족의 결속력은 시험불안이 높은 군에서는 이탈된 가족 2예(3.8%), 분리된 가족 14예(26.9%), 연결된 가족 20예(38.5%), 밀착된 가족 16예(30.8%)이었으며, 시험불안이 낮은 군에서는 이탈된 가족 18예(34.6%), 분리된 가족 22예(42.3%), 연결된 가족 8예(15.4%), 밀착된 가족 4예(7.7%) 이었다. 가족유형은 시험불안이 높은 군에서 조화형 24예(46.2%), 중간형 20예(38.4%), 극단형 8예(15.4%)이었으며, 시험불안이 낮은 군에서는 조화형 24예(46.2%), 중간형 22예(42.3%), 극단형 6예(11.5%)이었다.
결론 : 시험불안 고저에 따른 가족기능과의 비교연구에 있어서 시험불안이 높은 군에서는 가족 결속력이 높았고, 시험불안이 낮은 군에서는 가족 적응력이 높았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