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0;21(8):994-1005.
Published online August 1, 2000.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family function assessment tool.
Ji Ho Choi, Ho Cheol Shin, Hyun Lim Choi, Byung Sung Kim, Jang Won Won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Inh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Korea.
2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Korea.
3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Korea.
한국형 가족기능 평가도구의 개발
신호철, 최지호, 최현림, 원장원, 김병성
1
2
3
Abstract
Background
: As the effect of the families on the individual’s health and disease is profound, it is very important to care patient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ir families. The family function assessment tool to evaluate the families objectively and easily is necessary for this purpose. Many instruments have been developed in other countries and we have used these instruments without verification. Therefore, there is a question whether they are appropriate to the Korean families. The family function is especially important to the family with adolescents because adolescents are characterized by psychological instability. My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 instrument to assess the function of the Korean families and this research is made on the Korean families with adolescents.
1,60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1,600 of their parent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y were asked to describe 5 kinds of each good and bad family relationship to collect primary basic data. These data were arranged to items based on the established scales and subscales. Secondary basic data were collected from another 200 students and their 200 parents to complement the items. Preliminary instrument items were selected by the frequency of the responses and the judgment of the author. Through discussions with experts, the preliminary instrument was established. Accessibility was tested and factor analysis was done for the preliminary instrument. After this process,, the main instrument was formulated.
For the primary basic data, 2,382 people answered (response rate 74.4%) and 10,267 responses and 298 kinds of items were collected. There was no additional item from the secondary data collection. The preliminary instrument was made of 58 items selected from 298 items. It takes 8 minutes to complete this instrument in average and 97% of the subjects had no difficulty in completing it. The main test instrument, developed after factor analysis, was made of 7 scales with 40 items.
초록
가족이 개인의 건강과 질병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므로 가족을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진료를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이를 위해서 가족의 기능을 객관적으로 쉽게 측정하는 가족기능 평가 도구가 필요하며 외국에서는 여러 도구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 에서도 이런 도구를 도입하여 사용하여 왔으나 이런 도구들에 대한 검증이 부족하며 우리나라 가족의 특성에 적합한 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한편 청소년 자녀를 둔 가족은 청소년기의 특징인 정신적, 심리적 불안정으로 인해 가족의 기능이 더욱 중요하다. 이에 청소년 자녀를 둔 가족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가족의 기능을 평가하는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대도시(서울 및 인천), 중소도시와 읍면지역 4개 지역의 남녀 중고생 1,600명과 이들의 부모 중 1명씩 1,600명을 대상으로 가족관계가 좋을 때의 가족의 모습과 가족 관계가 좋지 않을 때의 가족의 모습을 각각 5가지씩 기술하도록 하여 1차 기초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설정된 척도와 하부 소척도에 따라 문항을 정리하였다. 이 문항에 추가될 문항이 있는지에 대해 200명의 중,고등학생과 이들의 부모 200명을 대상으로 2차 기초 자료 수집을 하였다. 기초 자료 수집 문항 가운데 응답의 빈도와 연구자의 판단에 따라 예비 조사 도구 문항을 선정하고 전문가의 토의를 거쳐 예비 조사 도구를 만들었다. 예비 조사를 하여 접근성을 알아보고, 요인분석을 통해 본 조사 도구를 작성하였다.
1차 기초 자료 수집에 2,382명이 응답하였고(응답률 74.4%), 총 10,267기술이 수집되어 298가지 항목으로 정리하였다. 2차로 추가된 항목은 없었다. 수집된 298항목 가운데 58항목을 선정하여 예비 문항을 설정 하였다. 예비조사에서 조사대상자의 작성 시간은 평균 8분이었으며 97%가 작성에 어려움이 없다고 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 7개척도 40문항으로 본 조사 도구를 작성하였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