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related symptoms of video disply terminal users. |
Yun Jin Kim, Sang Yeoup Lee |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Korea. |
영상표시단말기 사용자의 증상 관련 요인 |
김윤진, 이상엽 |
|
|
|
Abstract |
Background : The use of video display terminal(VDT) is growing rapid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etailed symptoms related to VDT use, factors related to symptoms of VDT users.
Methods : 352 bank clerks using VDT who visited to a hospital in Pusan were enrolled in this study. Collected data included age, sex, symptoms associated VDT, weekly VDT, weekly VDT usage time, distance from head to hard, distance from eyes to VDT angle to VDT.
Results : The prevalence of symptoms related to VDT use was 27.0 percent. Symptoms involved visual(19.9%), musculoskeletal(10.8%), neurological system(0.5%). The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years of age was higher than those of 3 years and over. The prevalence of subjects with more than one symptom was 33.7 percent; subjects with visual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were most common. Angle to VDT of group having symptoms relate to VDT use was 5.1±22.6 degrees while those without was -0.5±17.0 degrees(P,0.05), Weekly mean VDT usage time of group having symptoms related of frequency subjects having visual, musculoskeletal, and neurological symptoms, angle to VTD and weekly mean VDT usage time were increased.
Conclusion : Factors related to symptoms of VDT users was weekly VDT usage time and angle to VDT. The prevalence of symptoms related to VDT use was 27.0 percent. |
초록 |
연구배경 : 오늘날 영상표시단말기(이하 VDT)의 사용은 급속히 증가되고 있으며, 외래에서 이와 관련된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를 가끔 접하게 된다. 이에 저자 등은 VDT 사용과 관련된 증상의 유형과 그 증상과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8년 11월부터 12월까지 부산의 한 3차 의료기관을 방문한 모은행 근로자 35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항목은 성, 연령, VDT 사용과 관련된 구체적인 증상, 주당 평균 VDT 사용 시간, 두부와 컴퓨터 본체와의 거리(cm), 눈과 VDT 화면과의 거리(cm), 작업시 VDT 화면 주시 각도(도),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 기종 등이었다.
결과 : VDT 사용과 관련된 증상의 호소율은 27.0%이었으며, 안증상 19.9% 근골격계 증상 10.8%, 신경계 증상 0.5%의 순서였다. 근골격계 증상은 여자가 남자보다 더 많았으며(P<0.05), 안증상은 30세 이하가 31세 이상의 경우보다 더 많았다(P<0.01). 한 종류의 이상의 증상을 경험한 사람은 VDT 관련 증상 유경험자 중 33.7%이었으며, 이 중 안증상과 근골격계 증상을 모두 경험한 사람이 가장 많았다. 작업시 VDT 화면 주시각도는 VDT 사용과 관련된 증상 유경험자가 5.1±22.6도로서 무경험자의 -0.5±17.0도보다 높았다(P<0.05). 주당 평균 VDT 사용시간도 VDT 사용과 관련된 증상 유경험자가 주당 25.0(3.0~90.0) 시간으로 무경험자의 무장 11.0(0.5~100.0)시간보다 많았다(P<0.01). 작업시 주시각도는 안증상, 근골격계 증상, 신경계 증상의 순서로 많았으며, 주당 평균 VDT 사용 시간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론 : VDT 사용자의 증상 관련 요인은 주당 평균VDT 사용 시간과 작업시 VDT 화면 주시 각도다. VDT 사용과 관련된 증상의 호소율은 27.0%이었으며, 안, 근골격계, 신경계 증상의 순서로 많았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