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9;20(6):787-797.
Published online June 1, 1999.
The Changes in stress, symptoms, coping responses, and health behaviors during the IMF crisis.
Mun Heum Cho, Jong Han Lee, Bong Hoon Choi, Young Ho Lee, Young Chul Kim, Ga Young Lee, Tae Jin Park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Pusan Paik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Inje University, Korea.
지난 1 년간 스트레스 및 증상 , 대응반응 , 건강행위의 변화
이가영, 박태진, 이영호, 조문흠, 이종환, 최봉훈, 김영철
Abstract
Background
: In Korea, there were many socioeconomic changes under the IMF management system. Therefore we assumed that the stress levels increased.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people's stress, health behaviors, symptoms, and coping responses which might be affected by socio-economic changes during the IMF crisis with in 1 year.

Methods : In September, 1998, we sent questionnaires to a total of 560 persons who were over 18 years old and lived in Changwon city. We chose 359 subjects who completed the survey. Assuming that the stress of one's own marriage was 50 points, we asked them what degree of stress was the previous year and after August of 1997. Also, we asked them the estimate how much degree of stress had changed based on the 17 factors of life events according to Likert 5 points scale. Specifically, we investi-gated on how health behaviors were changed, how people responded to stress by using 19 coping potions of Billing and Moos, and how the 20 symptoms were changed.

Results : 71.7% of subjects replied that income was within 1 year. The amount of stress was in-creased by 13.2 points compared to the stress previous year. The levels stress in men increased significa-ntly more than in women(P=0.003),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marital status, education, and age. With respect to the change of healthy behaviors,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amount of exercise decreased significantly in subjects who had more stress(P=0.020).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smoking and drinking, in the frequency of drinking, sleeping time, and the regularity of eating. The health behavior score, the number of positive health behaviors, was significantly changed to negative in those whose stress increased(P=0.015).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frequency of 15 symptoms among 20 symptom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ose whose stress in-creased. Also, those whose stress increased significantly used more avoidant coping responses(P=0.007).

Conclusion : In this study, we found that those whose stress levels increased within 1 year compared to the year before up to September of 1987, had their health behaviors significantly deteriorated, and had more symptoms with avoidant coping responses. In conclusion, we suggest that those whose stress levels increased should be guided to promote good health behaviors, to use active coping responses rather than avoidant coping responses, and should be given more social support.
초록
연구배경 : IMF 관리체제로 인한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IMF 전후 1년간 스트레스 변화, 건강행위의 변화, 스트레스로 인한 증상의 변화, 스트레스시 대응반응 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1998년 9월 상순 10여일간, 18세 이상 창원시에 거주하는 주민을 대상으로 총 56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그 중 충실하게 응답한 359명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본인이 결혼할 때 받는 스트레스 정도를 50점이라 했을 때 지난 1년간 느낀 스트레스 정도와 그 이전 1년간 느낀 스트레스를 각각 0-100까지 해당하는 눈금에 표시하도록 하여 그 차이를 스트레스의 변화정도로 삼았다. 또 이광숙의 17개 하위 생활사건 요인별 스트레스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Likert 5점 척도로 조사하였다. 건강행위는 1년전에 비해 현재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조사했고, 스트레스에 대한 대응반응은 Billing와 Moos의 최근의 스트레스 경험에 대한 19개 대응 선택(coping options)을 이용하였고, 스트레스시 흔히 보이는 증상 20개에 대해 1년전에 비해서 어떠한 지도 조사하였다. 통계처리는 t-test, Mantel-Haenszel test를 이용하였다.

결과 : 전체 조사대상자 중 1년간 가구원의 소득액의 변화는 감소했다가 71.7%, 변화 없거나 증가했다가 28.3%였다. 지난 1년간의 스트레스 양은 그 이전 1년에 비해 13.2점 증가하였다. 인구사회학적 변수 중에서 남자가 여자에 비해 유의하게 스트레스 양의 증가가 많았으나(P=0.003), 결혼상태, 교육정도, 연령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1년전에 비해 스트레스가 증가한 군과 감소한 군간에 건강행위의 변화를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가 증가한 군에서 유의하게 운동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P=0.020), 흡연량, 음주량, 음주횟수, 수면시간, 식사의 규칙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런 6가지 건강행위의 변화가 긍정적일 경우 각각 1점씩을 주었을 때, 스트레스 감소 군은 건강행위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스트레스 증가군은 부정적인 방향으로 변해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5). 스트레스와 연관된 20가지 증상 중 15개 항목에서 스트레스 증가군이 감소군보다 유의하게 증상이 1년전에 비해 늘어났거나, 없다가 새로 생겼다. 스트레스 증가군이 보다 유의하게 회피적인 대응반응을 많이 사용했다(P=0.007).

결론 : 성인을 대상으로 그 이전 1년간과 비교한 지난 1년간의 스트레스 변화, 건강행위의 변화, 스트레스로 인한 증상의 변화, 스트레스 시 대응반응 등을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가 많이 증가한 군에서 유의하게 건강행위가 나빠졌고, 증상이 많아졌고, 회피 대응을 많이 사용했다. 따라서 스트레스의 증가가 많은 군에 대하여서는 좋은 건강행위를 가지도록 유도하고, 회피 대응보다는 능동적 대응을 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스트레스 중재 방법을 사용하고, 사회적인 지지를 해주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839 View
  • 9 Download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