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8;19(10):881-893.
Published online October 1, 1998.
Clustering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cornary artery disease.
Hue Soon Park, Young Sol Kim, Seong Wook Park, Seung Jung Park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Ulsan University, Korea.
2Department of Medicine, Division of Cardiology,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lsan University, Korea.
심혈관 위험 인자의 군집 현상과 관상동맥질환과의 관계
박혜순, 김영식, 박성욱, 박승정
1
2
Abstract
Background
: Cardiovascular risk factors have been divided into 2 categories, modifiable risk factors, and nonmodifiable risk factors. Clustering of risk factors may increase the risk of CAD more than any of the factors alone and often related to each other. We conducted this study to examine clustering of modifiable risk factors, to analyse associated factors with the clustering of metabolic risk factors, and to evaluate the risk of CAD according to the number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Methods : The case series comprised of 166 patients with angiographically confirmed coronary artery disease, who were admitted to the Division of Cardiology of a Medical Center in Seoul. The controls were 137 persons composed of patients with normal coronary arteriogram or patients with normal myocardial SPECT for chest pain. We surveyed their life style habits, measured anthropometric variables, and analyzed biochemical markers among CAD patients and controls.

Results : Modifiable risk factors, smoking, hypertension, diabetes, hypercholesterolemia, and low HDL-C were clustering each others among middle-aged Korean. Clustering of metabolic risk factors, hypertension, diabetes, hyperchesterolemia, and low HDL-C were associated with white-collar group, low physical activity, non-exercise, high BMI(body mass index) and high WHR(waist-hip ratio). The odds ratios for CAD in men with 3, 4, more than 5 risk factors were 2.0(95% CI:0.9-4.5), 2.9(95% CI:1.2-6.7), and 12.2(95% CI:3.5-42.0) respectively, compared with men with less than 2 risk factors. The corresponding odds ratios in women were 3.4(95% CI:1.3-9.0), 4.1(95% CI:1.2-13.5), and 4.5(95% CI:1.0-21.5) respectively.

Conclusion : There findings show that modifiable cordiovascular risk factors cluster among middle-aged Korean. The more the cardivascular risk factors, the higher the CAD risk in men and not only for clustering cardiovascular risk factors but also for CAD risk.
초록
연구배경 :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서구화된 생활 습관으로 인하여 동맥경화와 관련된 관상동맥질환이 증가하고 있다. 심혈관 위험 인자를 다발적으로 갖고 있는 경우 관상동맥질환에 대한 위험은 단순한 합보다 많다고 알려져 있어, 이러한 위험 인자의 군집 현상과 관련된 요인을 밝혀 이를 예방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40세 이상 성인에서 개인별로 심혈관 위험 인자의 군집 현상이 존재하는지, 대사성 위험 인자의 군집 현상과 관련된 요인은 무엇인지, 위험 인자의 군집 현상에 따르는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은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7년 1월부터 1997년 8월까지 서울중앙병원 심장내과에 입원하여 관상동맥조영술에서 혈관 내경이 50%이상 협착된 소견을 보인 166명을 환자군으로, 병변이 없는 경우와 가정의학과로 내원하여 심근관류 SPECT상 정상으로 나온 137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설문지로 생활 양식 및 과거력, 가족력을 알아보았으며, 신체 계측으로 신장, 체중, 복부 둘레, 둔부 둘레를 측정하였다. 혈압을 측정하고 공복시 혈액을 채취하여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인슐린을 측정하였다. 통계 분석은 χ²-test 및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였다.

결과 : 1)여자의 경우 55세 이상이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많았고, 남자의 경우 흡연력과 고콜레스테롤혈증이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고혈압, 당뇨병, 낮은 HDL-콜레스테롤은 남, 녀 모두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많았고, 높은 HDL-콜레스테롤은 남, 녀 모두 환자군에서 적었다. 2)교정 가능한 위험 인자인 흡연, 고혈압, 당뇨병, 고콜레스테롤혈증, 낮은 HDL-콜레스테롤 5개에 대하여 군집 현상이 있는지 살펴 본 결과 χ²값이 21.09로서 자유도 5에서 p<0.005로 나타나 유의하게 위험 인자의 군집 현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대사성 위험 인자인 고혈압, 당뇨병, 고콜레스테롤혈증, 낮은 HDL-콜레스테롤의 군집 현상은 white-color에서, 신체 활동이 적은 군에서, 운동을 안한 군에서, 체질량지수 25kg/m² 이상인 비만군에서, 복부-둔부 둘레비 0.95이상인 복부 비만군에서 더욱 현저하였다. 위험 인자 수가 많아질수록 남자에서는 체질량지수와 복부-둔부 둘레비가, 여자에서는 복부-둔부 둘레비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4)전체적인 위험인자 수의 양상은 남, 녀 모두 환자군에서 대조군보다 위험 인자를 다발적으로 가지고 있는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다. 실험관 위험 인자 수에 따르는 관상동맥질환 교차비는 2개 이하인 경우에 비해 3개, 4개, 5개 이상일 때 남자의 경우 2.0(95% CI: 0.9-4.5), 2.9(95% CI: 1.2-6.7), 12.2(95% CI: 3.5-42.0)이었고, 여자의 경우 3.4(95% CI:1.3-9.0), 4.1(95% CI:1.2-13.5), 4.5(95% CI:1.0-21.5)로 위험 인자 수에 따라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 40대 이상 성인에서 심혈관 위험 인자가 군집하는 현상이 있고, 위험 인자가 수가 많을수록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사성 위험 인자의 군집 현상은 비만, 특히 복부 비만, 운동 부족, 적은 신체 활동을 보이는 경우에 뚜렷하게 나타나므로 위험 인자 수를 줄이고 관상동맥질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신체 활동량 및 운동량을 늘리고 체중 조절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