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usefulness of wrist/height ratio as a predictor for the risk factors of coronary artery disease. |
Ji Young Ko, Hyo Ley Lee, Shin Ai Park, Wol Mi Park, Sang Wha Lee, Hong Soo Lee |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Tongdaemun Hospital,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Korea. |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예측인자로서의 허리둘레 / 신장 비의 유용성 |
고지영, 이효리, 박신애, 박월미, 이상화, 이홍수 |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부속 동대문병원 가정의학과 |
|
|
Abstract |
Background : The waist/hip ratio is an useful index of abdominal obesity, but it includes two variables which may result in a false interpre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waist/height ratio as a predictor for the risk factors of coronary artery disease(CAD).
Methods : 1395 persons(818 men & 577 women) were selected as subjects who visited the Health Examination Center at Ewha Mokdong Hospital from October 1996 to March 1997. Waist circumference was measured at the level of umbilicus with standing position. Hip circumference was measured at the level of the largest circumference of the hip. We set the criteria of the risk factors as hypertension(systolic BP≥140mmHg and/or diastolic BP≥90mmHg), glucose intolerance(fasting blood glucose≥115mg/dl), hypertriglyceridemia(>160mg/dl), hypercholesterolemia(≥200mg/dl), and low HDL-cholesterol level(<35mg/dl). The morbidity index of CAD was calculated by the sum of the risk factor scores(one point per item if present).
Results :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waist/height ratio, waist/hip ratio and body mass index(BMI)(p=0.0001). BMI had more strong correlation with waist/height ratio(r=0.81) than waist/hip ratio(r=0.48). According to the simple regression analysis, BMI, waist/hip ratio and waist/height ratio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ll of the risk factors and the morbidity index.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ist/height ratio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ge, weight, height, systolic BP, triglyceride, 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The risk factor morbidity index of the groups with waist/height ratio over 0.45 was significantly more higher than the group of the lowest risk factor morbidity index(waist/height ratio under 0.4) in men(p=0.01). For women, 0.46 was the level which the risk factor morbidity index increased significantly(p<0.01).
Conclusion : Waist/height ratio can be a useful index of abdominal obesity. And it may be used as a more easier and better predictor of multiple CAD risk factors than waist/hip ratio. We can predict that waist/height ratio over 0.45 in men and over 0.46 in women may have more higher coronary artery disease risk. |
초록 |
연구배경 : 허리/엉덩이둘레비는 복부미만의 지표로서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것은 측정자에 따라 다르게 측정되는 두개의 값을 갖고 있다. 본 연구는 이중 하나를 보다 객관적인 측정값으로 대치한 허리둘레/신장비가 복부비만을 잘 반영하고 이것이 관상 동맥질환의 위험예측인자로서 유용성을 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6년 10월부터 1997년 3월까지 이대목동병원에서 종합건강검진을 받은 1395명의 남녀를 대상으로 하였다. 허리둘레는 편안하게 선 자세에서 배꼽 부위에서 측정하였고 엉덩이둘레는 엉덩이 부위중 가장 큰 곳에서 측정하였다. 관상동맥질환 위험인자들은 고혈압(수축기혈압≥140mmHg 그리고/또는 이완기 혈압≥90mmHg), 내당능장애(공복시혈당≥115mg/dl), 고중성지방혈증(>160mg/dl), 고콜레스테롤혈증(≥200mg/dl), 저 HDL-콜레스테롤 혈증(<35mg/dl)으로 하였다. 관상동맥질환 위험인자 이환율지수(risk factor morbidity index)는 상기 위험인자가 있을 때 하나당 1점씩하여 그 합으로 하였다.
결과 : 허리둘레/신장비, 허리/엉덩이둘레, 그리고 체질량지수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하였다.(p=0.0001). 특히 허리둘레/신장비(r=0.81)가 허리/엉덩이둘레(r=0.48)보다 체질량지수와 더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단순회귀분석에 의하면 체질량지수, 허리/엉덩이둘레, 그리고 허리둘레/신장비는 모두 위험인지들과 위험인자 이환율지수와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다중회귀분석에 의하면 허리둘레/신장비가 연령, 체중, 신장, 수축기혈압,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과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남성에서는 허리둘레/신장비가 0.45이상인 집단이 0.40이하인 집단보다 위험인자 이환율지수가 유의하게 높았고(p=0.01), 여성에서는 허리둘레/신장비가 0.46이상인 집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1).
결론 : 허리둘레/신장비는 복부비만을 나타내는 측정치로 유용할 뿐 아니라 관상동맥질환의 여러 위험인자들을 예측하는데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남성에서 허리둘레/신장비 0.45이상, 여성에서는 0.46이상인 경우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이 더 높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