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8;19(2):216-226.
Published online February 1, 1998.
The factors related with office worker's health perception.
Kee Hwan Song, Woo Hae Kwak, In Sang Yoo, Noh Won Park, Jeong Yeol Oh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Kwangmyung Sung-ae General Hospital, Korea.
2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ung-ae General Hospital, Korea.
직장인의 건강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송기환, 곽우해, 유인상, 박노원, 오정열
1
2
Abstract
Background
: Recently, the concept of health is extended to physical, mental and social aspects, which leads people to pursue health behavior positively. But the evaluation of health condition shows a tendency to be biased to functional side. It this case, even if he is in physically good health, he is not rated as healthy.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one's health state and the factors related with health perception including health behavior, mind and social environment.

Methods : For a month of May 1996, we surveyed those who visited for periodic medical check-up at one general hospital in Seoul.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total of 25 items ; diet behavior, weight control, coffee, coke, tea, drug use of, smoking, drinking, exercise, leisure, safety belts use, jay walking, sleep, stress, personality, anxiety, depression, occupational satisfaction, relationships with family and friends. Five point scale is used as the answer of each question item with high point as good living behavior. Among 406 who had sincerely answered the questionnaire, we divided them into healthy and unhealthy group and compared with the point of each question item and with the laboratory data(obesity, blood pressure, hemoglobin, fasting blood sugar, cholesterol and ALT).

Results : Among 406, the number of those who perceived themselves to be healthy was 175(43.1%, healthy group) and the one of those who did not was 231(56.9%, unhealthy group). The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was not significant in distribution of sex, age, academic career, income and religion. In laboratory data and living behavior they showed same results, also. But the points of unhealthy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healthy group in coffee, coke, tee, drugs usage, exercise, leisure, stress, personality, anxiety, depression, occupational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with family and friends. So was the total point of all items of unhealthy group in comparison with that of health group. In the case of male, the points of unhealthy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in smoking, safety belt use, jay walking, sleeping as well as the above items.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female, both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ll items except exercise and leisure.

Conclusion : Health perception is influenced by psychosocial factors and living behavior more than by physical health. Therefore family physician must be concerned about patient's living behavior, mental and social problems and must make an effort to change their perception of health as well as physical improvement.
초록
연구배경 : 최근 건강의 개념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인 측면까지 확대되어 적극적인 건강을 추구하게 되었다. 그러나 건강상태나 임상개입의 결과를 평가함에 있어 여전히 기능적인 면에 치우치는 경향이 있다. 만일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건강하지 않다고 느낀다면 안녕감(well-being sensation)의 부재를 의미하며, 이런 경우 신체적인 건강이 우수하다 해도 그 사람은 건강하다고 평가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인식상태와 생활습관, 정신, 사회적 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설문조사와 검사실소견들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건강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6년 5월 한달간 서울 시내에 위치한 모 종합병원에 정기신체검사를 받기 위해 내원한 직장인 중 설문에 성실히 답한 406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신이 건강하지 않다고 인식하는 사람을 비건강군으로, 건강하다고 인식하는 사람을 건강군으로 나누어, 각 설문항목에 대한 점수와 검사실소견(비만도, 혈압, 혈색소, 공복시 혈당, 콜레스테롤, ALT)을 서로 비교하였다. 설문지는 식이습관 및 체중조설, 커피, 콜라, 차, 약물복용, 흡연, 음주, 운동 및 여가활동, 안전벨트 착용 및 무단횡단, 수면, 스트레스, 성격유형, 불안 및 우울, 직업만족도, 가족 친구들과의 유대관계에 대한 총 25문항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건강한 생활습관을 갖고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 총 연구대상 406명중 비건강군이 231명(56.9%), 건강군이 175명(43.1%)이었다. 두 군은 성, 연령, 학력, 월수입, 종교분포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식이습관, 흡연, 음주, 안전벨트 착용 및 무단횡단, 수면 등의 생활습관과 검사실 검사 결과에서도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커피, 콜라, 차, 약물 복용, 운동 및 여가생활, 스트레스, 성격유형, 불안 및 우울, 직업만족도, 가족, 친구들간의 유대관계항목의 점수가 비건강군에서 건강군보다 낮았고, 총점 비교에서도 비건강군이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다. 남자를 대상으로 한 양군간의 비교에서는 상기의 유의한 항목 외에도 흡연, 안전벨트 착용 및 무단횡단, 수면항목에서 비건강군이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으나, 이와 반대로 여자를 대상으로 비교하였을 때는 운동 및 여가활동 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건강인식은 신체적인 건강보다는 정신사회적 요인과 생활습관에 많이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가정의학과 의사는 환자로 하여금 진정한 건강상태를 누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환자의 기능적인 개선은 물론 환자의 건전한 생활습관, 정신사회적 문제점들에 관심을 가짐으로써, 스스로의 건강에 대한 인식을 바꿔주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