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3;14(4):250-257.
Published online April 1, 1993.
Effect on body weight control through behavior, diet, exercise therapy in obese patients.
Hye Soon Park, Young Sun Jung, En Su Shin, Myung Wha Kim, Chul Jun Kim
비만 환자에서 행동 , 식사 , 운동
박혜순, 정영순, 신은수, 김명화, 김철준
가톨릭대 교수, 예방의학
Abstract
Background
: Obesity is a very important and serious health problem because it itself is no only the independent risk factor of coronary heart disease. But it is also related to many other disorders and increased mortality r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effects of multidisciplinary educations, including behavior modification, diet therapy, and exercise, on body weight reduction in obese patients.

Methods : The study subjects were eighty-four in number who visited to Obesity Clinic of AMC from Oct. 1991. to May. 1992. Observations for body weight changes were carried on after five months period to whom previously received individualized multidisciplinary educations for each behavior modification, diet therapy, and exercise. Those who did not revisit for follow-up were evaluated by telephone questionaires.

Results : Among 71 subjects in whom follow-up evaluations were possible, the number of male and female patients were 15 and 56, respectively.
Changes in body weight after five months of treatment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in both sexes, from 84.0±10.1kg to 80.9±9.2 kg in males and 71.4±8.8 to 69.0±9.2 in female. (P<0.05) Eleven(76.3%) among the males and forth-three(76.8%) among the female showed weight reduc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sex, age, marital status, occupations, educations, socienomic status, familial history, and disease history between weight reduction group and non-reduction group. The results of weight reduction according to grading scale are as follows: One male(9.1%) and two female patients(4.7%) for over 10kg loss, two male(18.2%) and four female patients(9.3%) for between 5 to 10kg loss, eight male(72.7%) and thirth-seven patients(86.0%) for less than 5kg of loss. There were differences in weight reduction between group that did behavior modification and that did not(P<0.05). also differences between group that did diet therapy and that did not(P<0.05) by univariate analysis, but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y multivariate analysis. There is no difference in weight reduction between group that did exercise and that did not(P<0.05)

Conclusion : We observed the effects of behavior modification, diet therapy, and exercise on weight reduction in obese patients and results are significant weight reductions favorable for both sexes(3.0±3.5kg in male and 2.3±3.4kg in female). Eleven male(73.4%) and forth-three(76.8%) female showed weight reduction.
초록
연구배경 : 비만증은 관상 동맥 질환의 독립적인 위험인자일 뿐 아니라 여러 가지 성인병과 관련이 되고 그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하기 때문에 매우 주요한 건강 문제이다. 저자는 비만 환자에서의 행동 교정, 식사 요법, 운동 요법을 통해 체중 조절의 효과를 알아 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1년 10월부터 1992년 5월까지 서울중앙병원 운동의학센터를 방문한 비만 환자 8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개인적으로 행동 교정, 식사 요법, 운동 요법에 대한 교육을 한 5개월후에 3가지 치료법의 시행 여부와 체중 변화를 조사하였는데, 병원에 내원한 환자가 아닌 경우는 전화 문의를 통하여 체중 조절 여부를 알아보았다.

결과 : 추적 조사가 가능했던 71명의 환자중 남자가 15명, 여자가 56명이었다. 비만 치료 5개월 후 체중 변화는 남자에서 치료 전 평균 84.0±10.1kg이 치료후 80.9±9.2kg로 유의한 체중 감소를 보였고, 여자에서 치료 전 평균 71.4±8.8kg이 치료후 69.0±8.0kg으로 유의한유의한 체중 감소를 보였다. 10kg이상의 체중 감소를 보인 경우가 남자 1명(9.1%), 여자 2명(4.7%)였고, 5-10kg의 체중감소를 보인 경우가 남자 2명(18.2%), 여자 4명(9.3%)였으며, 5kg이하의 체중 감소를 보인 경우가 남자 8명(72.2%), 여자 37명(9.3%)였다. 체중 감소를 보인 군과 보이지 않은 군 사이에 성별, 연령, 결혼 여부, 직업, 교육, 경제적 수준, 가족력, 병력 등의 요인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행동교정을 시행한 군에서는 3.6±3.9kg의 체중 감소를 보여 시행하지 않은 군의 0.7±1.3kg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식사 요법을 시행한 군에서는 3.8±3.9kg의 체중 감소를 보여 시행하지 않은 군의 0.7±1.3kg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다변수분석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운동 요법을 시행한 군에서는 2.9±3.9kg의 체중 감소를 보였지만 시행하지 않은 군의 2.1±3.0kg와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 비만 환자에서 행동 교정 요법, 식사 요법, 운동 요법을 통한 체중 조절의 효과를 알아본 결과 남자에서는 3.0±3.5kg 여자에서는 2.3±3.4kg의 체중 변화를 보여 유의한 체중감소 현상을 보였다. 남자는 73.4%, 여자는 76.9%에서 체중 감소를 나타내었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