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and stress. |
Sung Hyun Kim, Jin Hee Yoon, Hye Soon Park |
|
피로와 스트레스의 관련성 |
김성현윤진희박혜순 |
울산의대 서울중앙병원 가정의학교실 |
|
|
Abstract |
Background : Fatigue is an undifferentiated symptom and originated from physical and/or psychological causes, which include day-to-day problems and undue stress. Although fatigue is one of the most common complaints in primary care, few studies about fatigue are available in the family medicine literature. Therefore we carried out this study to determine the effect of stress in life events on fatigue.
Methods : Data were gathered on epidemiologic status, organic disease, alcohol, smoking, drug history, exercise, sleep and stress scale of 102 fatigue group(cases) and 51 no fatigue group(controls) during the period from June 1991 to September 1991. By using these data, the effect of stress on fatigue was analyzed and evaluated.
Results : The average stress amount of fatigue group(275±25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 fatigue group(196±175) (p<0.05).
Conclusion : Fatigue is most commonly originated from psychological factor. Life event stress was highly associated with fatigue. Clinicians must evaluate multiple causes of fatigue and communicate the understanding of those causes to patient to gain support. |
초록 |
연구배경 : 피로는 미분화된 증상으로 신체적인 원인이나 일상 생활에서의 지나친 스트레스와 같은 정신적인 원인에 의해서도 발생된다. 피로는 일차 진료에서 가장 많이 접하는 증상의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피로와 스트레스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1년 6월부터 9월까지 피로를 호소하는 환자군 102명과 피로를 나타내지 않은 대조군 51명을 2:1 짝짓기로 환자 대조군 연구를 시행하였다. 모든 대상에서 신체적 질환, 음주, 흡연, 약물복용, 운동, 수면, 학력, 직업, 생활만족도와 스트레스양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평균 스트레스양이 환자군(275±252)에서 대조군(196±175)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성별, 연령별 스트레스양은 여자에서 환자군(304±289)과 대조군(150±131)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40대에서 환자군(318±303)과 대조군(1690±144)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신체적 질환, 음주, 흡연, 약물복용, 운동, 수면, 학력, 직업, 생활만족도 등에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 : 피로는 신체적인 질환이나 정신적인 문제로 발생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 피로와 스트레스는 강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원인이 없으면서 피로를 주증상으로 하는 환자에게 정신적 스트레스와의 관련성에 대해 이해시키고 지지해 주는 것이 필요하겠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