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8;29(10):781-787.
Published online October 10, 2008.
Effect of Teenage Physical Activity on Areal Bone Mineral Density in Healthy Premenopausal Women of Korea.
Yu Na Seo, Jin A Park, Sung Hwan Cho, Chang Hee Han, Su Young Lee, Sang Keun Hahm, Young Jun Park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Hanil General Hospital, Korea. parkjina@paran.com
2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Korea.
청소년기 신체활동도의 폐경 전 여성 골밀도에 대한 영향
서유나,박진아,조성환,한창희,이수영,함상근,박영준
1
2
Abstract
Background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osteoporosis,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ause of fracture in adults. However, whether moderate physical activity during youth confers lasting benefits for bone is unclear. Thus, we are here concerned with the relation of teenage physical activity and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premenopausal women. Methods: From March to June 2007, 75 clients who visited a general hospital for medical check-up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reported physical activity for four age periods (12∼18, 19∼34, 35∼49, current) using self reporting questionnaire. And they completed two 3-day food records, had measurements of height and weight, and aBMD assessed using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at the lumbar spine (L2-4) and femoral neck.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 of teenage physical activity (especially weight bearing physical activity) and aBMD in both sites (lumbar spine r=0.42, P< 0.01; femoral neck r=0.33, P<0.01). But the activity during other age periods was not associated with the current aBMD at both sites.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moderate physical activity during the teen years appears to have lasting benefits for lumbar spine and femoral neck aBMD in Korean premenopausal women. (J Korean Acad Fam Med 2008;29:781-787)
Key Words: premenopausal women, aBMD, WBPA, teenage activity
초록
연구배경: 골다공증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이 커지면서 골밀도에 영향을 끼치는 여러 인자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신체활동, 특히 체중부하 운동이 골밀도를 높인다는 연구결과들이 나오고 있고 시기별 운동의 효과에 대한 연구들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이 폐경 후에 집중되어 있고 특히 한국인 폐경 전 여성에서의 시기별 운동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아직 이뤄지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시기별 운동, 특히 청소년기의 운동이 폐경 전 여성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07년 3월에서 6월까지 서울 소재 일개 종합병원 건강검진센터에서 검진을 받은 폐경 전 성인여성 75명을 연속 추출하여 설문지 작성 및 신체계측, 골밀도검사를 시행하였다. 영양섭취와 시기별 운동에 대한 설문지를 자가 기입 방식으로 조사하였으며, 그 중 청소년기(12∼18세)에 걷기 이외의 체중부하운동을 주당 1회 1시간 이상 시행한 운동군(19명)과 그렇지 않은 비운동군(56명)을 분류하여 통계분석을 통하여 골밀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 청소년기에 체중부하 운동을 한 운동군에서 대퇴경부와 척추(L2-4)의 aBMD (g/cm2), T-score가 비운동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1). 다른 시기(19∼34세, 35∼49세, 50세 이상, 현재)의 총 신체활동 및 체중부하운동은 골밀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청소년기(12∼18세)의 총 신체활동 및 체중부하 운동은 폐경 전 여성의 대퇴경부 및 요추(L2-4)의 골밀도(aBMD 및 T-score)의 증가와 관련성을 보인다.
중심 단어: 폐경 전 여성, 골밀도, 청소년기 체중부하 운동, 신체활동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