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7;28(1):24-31.
Published online January 10, 2007.
The Frequency and Related Factors of Masked Hypertension among Volunteers.
Hyuk Ga, Ho Young Pyoun, Hee Jeong Koh, Ji Ho Choi, Sung Ryul Kim, Jin Sung Han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Inh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Incheon, Korea. r3ksw@hanmail.net
자원자를 대상으로 한 가면고혈압의 빈도 및 관련 요인
가혁,변호영,고희정,최지호,김성열,한진성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Abstract
Background
: 'Masked Hypertension' is a phenomenon of blood pressure that is normotensive by clinic measurement but proves to be hypertensive by 24 hour-AMBP and is associated with many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and its clinical importance has become the center of public interest. However, in Korea no study concerning masked hypertension has ever been published so far. We investigated the frequency and the related factors of masked hypertension among Koreans.

Methods : Overall, 53 volunteers from Incheon and Seoul, Korea, who were 40 years old and abov were enrolled from August 2003 to August 2004. We checked their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every hour using an ambulatory blood pressure monitoring device [SpaceLabs 90207] for 24 hours. Masked hypertension was defined as office mean BP less than 140/90 mmHg and daytime mean BP over 135/85 mmHg.

Results : Among the total, 15 subjects met the criteria of masked hypertension (28.3%) Current smoking (P=0.021), higher clinic mean SBP (P=0.011) and DBP (P=0.027), and prehypertension (P=0.04) were identified as related factors. And when adjusted for sex by logistic regression, only current smok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39) and prehypertension showed borderline significance (P=0.092) (CI=95%). Additionally, mean pulse pressures and mean standard deviation of individual mean SBP were higher in the masked hypertension group.

Conclusion : The frequency of masked hypertension was 28.3% the and related factors were current smoking and higher office BP, especially prehypertension that was introduced in JNC-7. The fact that the pulse pressure and the variability of individual SBP were higher in the masked hypertension group remains thought-provoking.
Key Words: masked hypertension, 24 hour-ambulatory blood pressure, current smoker, prehypertension, pulse pressure, blood pressure variability
초록
연구배경 : 가면고혈압은 진료실 혈압은 정상이지만, 일상생활중의 평균혈압은 높은 현상으로 정의한다. 최근 가면고혈압이 다양한 심혈관계 합병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그 임상적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가면고혈압의 빈도 및 관련된 인자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03년 8월부터 2004년 8월까지 경인지역에서 모집한 40세 이상의 자원자들 중, 진료실에서 2회 이상 측정한 혈압이 140/90 (mmHg) 미만으로 나온 자들을 대상으로 24시간-활동 혈압을 측정하여, 오전 6시부터 오후 10시까지의 평균 수축기 혈압이 135 mmHg보다 크거나 이완기 혈압이 85 mmHg보다 큰 경우를 가면고혈압으로 정의하였다. 관련된 요인들에 대한 통계적 검정은 카이제곱 검정과 student t-test, 그리고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하였다.

결과 : 총 53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15명(28.3%)이 가면고혈압이었다. 가면고혈압군은 낮 시간 동안의 수축기 혈압의 표준편차(P=0.012)와 평균 맥압(P<0.005)이 정상 혈압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단변량 분석을 하였을 때 가면고혈압과 관련된 요인들로는 현재의 흡연(P=0.021), 병원에서 측정한 수축기 혈압(P=0.011)이나 이완기 혈압(P=0.027)이 높은 경우, 특히 전고혈압(P=0.04)인 경우 등이었다. 그러나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현재의 흡연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P=0.039), 전고혈압은 Odds ratio가 7.257로 가장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092).

결론 : 가면고혈압의 빈도는 28.3%였으며, 현재의 흡연, 진료실 혈압이 높은 경우, 특히 전고혈압에 해당하는 경우가 위험 요인이었다. 진료실에서 측정한 혈압이 정상이어도 현재의 흡연자나 전고혈압에 해당하는 사람들은 24시간-활동성 혈압의 측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중심 단어: 가면고혈압, 24시간-활동성 혈압, 흡연, 전고혈압, 맥압, 혈압 변이도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