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5;16(11):760-768.
Published online November 1, 1995.
Factors predicting patients' experience of discomfort during gastrofiberscopy.
Tai Woo Yoo, Bong Rhul Huh, Seo Jeong Kim, Youg Eun Kim, Sang Woo O
위내시경검사시 환자가 경험하는 불편감과 연관된 요인
유태우, 허봉렬, 김서정, 김용은, 오상우
고신의대 가정의학교실
Abstract
Background
: Gastrofiberscopy(GFS) is a very important method to detect esophagogastroduodenal lesions which has high sensitivity. Biopsy and other interventions can be done by GFS. Despite of the merits, GFS is quite an uncomfortable procedure for patients. We studied to find discomfort of patients during GFS and to identify predictors for it.
Mothods : We recruited patients taken GFS at outpatient clinic, SNUH, Seoul, from June to July 1994. The patients recorded their discomfort during GFS by visual analogue scale score for 4 items respectively, pain, nausea, dyspnea, and air-fullness. The left end means no pain or discomfort, and the right end means extreme pain or idscomfort. Duration of examination. premedication. insertin method and the results were recorded. The X²test, simple linear regression, and multiple reogression were used. p value ≤ 0.05 was regarded as significant.

Results : 176 patients(mean age 45yr : 53% male) were recruited. The mean(SD) scores were : nausea 5.9(2.4), pain 3.9(2.5), dyspnea 3.7(2.7), air-fullness 3.6(2.8). The younger patients reported more nausea, dyspnea, air-fullness(P<0.05). Female patients reported more nausea than male (p<0.01). Insertion under direct visualization caused more nausea than blind insertion. Decompression of air-filling did not reduce patients' discomfort. Previous GFS exprience, biopsy operation, waiting time at endoscopy room, duration of examinationm education during procedure, bowel preparation, and premedication(IM buscopan, lidocaine gargling) and other characteristics of investigation pool were not associated with the degree of discomfort. The shorter time for insertion(from incisor teeth to upper esophagus), the more nausea was reported. But the association was not significant at p value ≤ 0.05.

Conclusion : The younger patient reported higher degree of discomfort during GFS. Female reported more nausea than male. Insertion under direct visualization caused more nausea than blind insertion. The other procedural and general factors did not show significant association in our finding.
초록
연구배경 : 위내시경검사는 민감도가 높고 조직생검 및 치료적중재술까지 가능한 매우 중요한 검사이다. 하지만 이는 환자로서는 불편하고 힘든 일이다. 본 연구는 위내시경검사시 통상적으로 행해지는 처치들과 환자가 경험한 불편감과의 연관관계를 살펴보고 이 중 교정가능한 요인들을 찾고자 하였다.

방법 : 1994년 7월 한달동안 일개 대학병원 외래 내시경실에서 위내시경검사를 받은 외래환자가운데 과거 위절제술의 병력이 없고 현재 동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심각한 질병이 없는 176명을 대상으로, 위내시경검사시 환자가 경험한 동통, 오심, 호흡곤란, 복부팽만감 각각에 대한 시각적 상사척도(vasul-analogue scale)를 설문지 방법을 통해 조사하였다. 위내시경 검사시 소요시간 및 삽입방법 등은 연구자가 기입하였다. X² 검정과 회귀 분석으로 통계적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결과 : 설문에 응답한 총 176명 중 남자가 93명(52.8%), 여자가 83(47.2%)이었다. 19세에서 68세까지의 연령분포를 보였고 평균연령은 45.2±11.1세였다. 위내시경 검사시 환자가 경험한 불편감을 시각적 상사척도로 나타냈을 때, 오심 5.9±2.4, 동통 3.9±2.5, 호흡곤란 3.7±2.7, 복부팽만감 3.6±2.8순으로 나타났다. 나이가 어릴수록 오심, 호흡곤란, 복부팽만감을 더만이 호소하였으며(P<0.05), 여성이 남성에 비해 오심을 더 심하게 호소하였다.(p<0.01). 내시경의 삽입방법에 따른 차이로는 직접 구조물을 확인하면서 삽입하는 방법이 환자 스스로 삼키도록 하는 방법에 비해 오심을 더 유발하였으며(p<0.05), 위내시경 검사시 삽입했던 공기를 제거해주는 것이 환자가 경험하는 불편감을 줄여주지는 못했다. 기기가 구강내에 들어가서 상부식도로 넘어가기까지의 시간이 짧을수록 오심을 더 호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따. 조직검사여부, 이전의 내시경검사여부, 그외 사회경제수준이나 교육정도, 결혼상태에 따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고 금식 및 전처치과정, 위내시경실에서 기다린 시간이나 총소요시간에 따른 차이 등도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내시경과정 중 환자에 대한 도움말, 검사 후 결과를 설명해주는 것 등이 환자가 느낀 불편감을 줄여주지는 못한다.

결론 : 위내시경검사시의 불편감은 나이가 어릴수록, 여성이 남성보다 더 호소하였다. 직접 구조물을 확인하면서 삽입하는 방법이 환자 스스로 삼키도록 하는 방법에 비해 오심을 더 유발하였으나, 그외 위내시경검사 방법에 따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842 View
  • 4 Download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