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5;16(11):769-776.
Published online November 1, 1995.
Risk factors for gallfones in a healthy survey.
Ho Keun You, Yeon Nam, Ho Soon Song, Joo Seon Park, Byeong Keun Kim
담석증 관련요인에 대한 연구
유호근, 남연, 송호순, 박주성, 김병권
Abstract
Background
: Gallstones is the most common biliary disease, which may cause acute abdominal pain or jaundice. The prevalence of gallstones has differen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geographics, race, sex and age. Eating habit, socioeconomic state and various disorders were known to be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gallstones development. If some reasonable risk factors could be found and effective preventive measure available those will be of great value to the public health care. Analyzing the risk factors for gallstones is the basic element of demographic study, but most study of the risk factors for gallstone have been based only on case of gallstonest hat were identified clinically, so not enough in study about tha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gallstones and to seek for risk factors associdated with gallstone development in a health survey.

Methods : 2,313 cases which had health examination and abdominal ultrasonography at Dong A university hospital from Jan. 1991 to April 1994 are subjects of this study. We divided patients into gallstone group and control group, which former are defined by gallstone positive or postcholecystedtomy due to gallstones, the latter by remainder. CBD stone or IHD stone were excluded in the control group. The risk factors explored included age, sex, body weight index, fasting blood sugar, Hepatitis B, liver function test,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Results : Total number of cases was 2,313, there was 1,424 male and 887 female, and sex ratio was 1 : 0.62. Gallstone were detected in 107 cases and the prevalence rate was 4.3% (107/2,313). Age and sex were the only significant factors with gallstones in our study. The mean age of gallstone and control groups was 50.1 and 43.4 respectively. With a reference group of 30-39 year-old as a comparision, the reletive risk showed a trend effect with odd ratios of 1.90, 4.61 and 6.46 for age group of 40-49, 50-59 and 60 or above respectively. The odd ratio for hy[erglycemia above 140mg/dl was as high as 2.45. However, sex, liver function test, hepatitis B,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were sigificantly associated with gallstones. Gallstore group was significantly more obese than controls but reletive risk was not significiant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 The prevalence rate of gallstones was 4.7%.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gallstone development were age and hyperglycemia above 140mg/dl. Gallstone group has significantly high body weight index than control group.
초록
연구배경 : 담석증은 급성 복통과 황달을 유발할 수 있는 질환으로 담관계 질환자에서 가장 흔한 질환이다. 발생빈도는 지역, 인종, 성, 연령에 따라 상이한 역학적 양상을 보이며, 식이습관, 사회경제수준 및 여러 질병 등이 관련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관련 요인을 찾아 예방하는 것은 공중위생학적 측면에서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또한 담석증의 관련요인을 분석하는 것은 담석증의 역학적 연구의 중요한 기본적 요건이나 이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임상증례에 한정되어 있고 일반인을 대상으로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저자는 일반 건강검진자를 대상으로 하여 담석증의 유병율 및 관련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1년 1월부터 1994년 4월까지 부산 모 대학병원에서 시행한 건강 검진자중 초음파를 시행한 2,313명을 대상으로하여, 초음파상 담석이 있는 환자와 과거 담석에 의한 담낭절제술을 받은 경우를 담석증군으로 정의하고, 나머지를 대조군으로 하였으며, 초음파상 총수담관석 또는 간내 담석증이 발견된 경우는 대조군에서 제외시켰다. 조사항목은 성별, 나이, 비만도, 공복시 혈당, B형 간염, 간기능검사,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을 포함하였으며, 담석증의 관련요인에 대한 환자-대조군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 : 조사대상자는 총 2,313명이었으며, 남자 1,424명, 여자 887명으로 남여비는 1:0.62였다. 담석증의 유병율은 4.7%(107명)이었고, 남자의 유병율은 4.0%(57명), 여자의 유병율은 5.6%(50명)였다. 조사된 관련 요인중 나이와 고혈당에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나이는 각군에서의 평균연령은 43.4세, 50.1세로 담석증군이 고연령의 경향을 보였고(P<0.05), 비교위험도 분석에서 30대 기준으로 40대, 50대, 60대 이상의 비교위험도가 각각 1.90, 4.61, 6.46로 담석증 발생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공복시 혈당은 평균치에서 두군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비교위험도 분석에서 140mg/dl 이상의 고혈당이 140mg/dl 이하에 비하여 비교 위험도 2.45로 담석증 발생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비만도에서는 두군간의 평균이 114.0%, 117.7%로서 두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p<0.05) 담석증군이 비만의 경향을 나타냈지만, 정상체중에 대한 과체중 및 비만체중군의 비교위험도 분석에서 관련성이 없었다. 그외 성별, 간기능검사, B형 간염 항원, 중성 지방, 콜레스테롤에서는 두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담석증의 유병율은 4.7%였고, 관련요인 비교 분석에서 나이와 고혈당이 담석증 발생과 관련성이 있었으며, 담석증군에서 비만의 경향을 보였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