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oking Prevention and Anti-Smoking Education in School. |
Hyung Suk Jang, Hyun Choel Kim, Kyung Seon Shim, Sang Nam Jeon, Eun Kyong Kim |
1Graduate School of Public,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doctor-hi@hanmail.net 2Dapartment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3Management Center for Health Promotion,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Gwacheon, Korea. |
우리나라 청소년의 흡연예방 및 금연교육 실태 |
장형숙,김현철,심경선,전상남,김은경 |
1 2 3 |
|
|
Abstract |
Background : Smoking prevention and anti-smoking education in schools must be designed and planned according to age and sex as well as the type of schools and their smoking status. But the current education programs do not consider these factors.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evaluate the actual status of the smoking prevention and anti-smoking education in Korea and to find present recommendations for an effective and, systematic education.
Methods : We surveyed 15,310 teen-age students attending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in such cities as Seoul, Incheon, Bucheon, Mokpo, and Pohang and smaller areas in the vicinity of these cities from June 1 to 15, 2005. Self- survey was done by the health education teacher of each school. It contained questions about the general disposition of respondents, their smoking habits, and awareness programs on prevention and cessation of smoking. We used SPSS 12.0 for χ2-test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Results : The most prevailing form of anti-smoking education was video;. Most of the students surveyed said that the fourth or fif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will be a good starting point for anti-smoking education. Only 39.6% of students who were educated by the current smoking prevention and anti-smoking program answered that it was helpful; and 29.6% was satisfied. Higher percentage of middle school students said that they either tried to quit smoking ('pre-contemplation') or had no intention of doing it ('termination-fail') after having been involved in the anti-smoking education program, while high school students turned out to be more oriented towards 'contemplation' and 'termination-success'.
Conclusion : Some students were found to begin smoking even at an early grade in elementary school. Most adolescents knew about the danger of smoking, but current smokers had a low educational satisfaction. The real target of such education programs, however, should be focused on higher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and middle school students, because data show that smoking rate increases explosively among these students. |
Key Words:
smoking cessation, education, adolescent |
초록 |
연구배경 : 흡연예방 및 금연교육은 청소년들의 각 시기별 특성, 흡연경험 유무, 흡연의 지각정도의 차이에 따라 제공되는 맞춤식 교육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청소년들에게 시행되는 흡연예방 및 금연교육의 실태에 대한 조사와 이에 따른 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학생들이 생각하는 흡연예방 및 금연교육의 선호형태에 대해 분석하여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흡연예방 및 금연교육이 되기 위한 보건교육의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방법 : 조사는 2005년 7월 1일∼15일 동안 서울, 인천, 부천, 목포, 포항 및 주변 읍면지역에 있는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 시군 안에서는 임의 추출을 하되 협조가 가능한 학교 중에서 선정하였으며 대상자는 총 15,310명을 기획하였다. 표본추출은 선택편의(selection bias)를 줄이기 위하여 교육인적자원부에서 전국 중·고등학교 학생의 대도시/중소도시/읍면지역 비율, 남/여 비율, 고등학교의 경우 인문계/실업계 비율과 동일한 비율로 대상을 선정하였다.
결과 : 흡연율은 중학교 4.1%, 인문계 고등학교는 9.6%, 실업계 고등학교는 25.2%로 나타났고 청소년이 흡연을 시작하는 시기는 대부분 중학교 2∼3학년이었다. 고등학생보다는 중학생이 금연교육이 청소년 흡연예방을 위해 중요하다고 하였으며 현재 학교에서 가장 많이 받고 있는 교육과 가장 영향을 받은 교육은 중학생, 고등학생 모두 '비디오'라고 응답하였다. 흡연 교육의 적절한 시기는 중·고등학생 모두 '초등학교 4~6학년'이라고 하였다. 학교에서 받은 교육을 받은 후 생각 변화는 중학생일수록 '고려이전단계'와 '종결-유지단계'가 높았으며 고등학생으로 갈수록 '고려단계'와 '종결-실패단계'가 높게 나온 것을 볼 수 있다.
결론 : 청소년들은 흡연에 대한 위험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흡연자의 흡연교육의 만족도는 낮다. 또한 연령에 따라 흡연예방 및 금연교육 후의 인식 변화 정도가 다르다. 교육의 시기에 있어서 조기에도 흡연예방 및 금연교육이 청소년들에게 가장 필요할 것이다. |
중심 단어:
청소년 흡연, 청소년 금연교육, 흡연예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