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6;27(1):42-48.
Published online January 10, 2006.
Association of Stress Level with Smoking.
Kyung Hee Lee, Woo Jin Chung, Sun Mi Lee
1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Korea. wchung@yumc.yonsei.ac.kr
2Department of Public Health,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Seoul, Korea.
스트레스 수준과 흡연 여부의 관련성
이경희,정우진,이선미
1
2
Abstract
Background
: Smoking contributes to increased incidence of disease and mortality, as well as to a significant loss in socioeconomic fiel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moking behavior.

Methods : We analyzed data from 1997 Korea's Behavioral Risk Factor Surveillance System Survey collected through telephone interview based on the multi-stage stratified random sampling (N=1,055).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on demographic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and health behavior, χ2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moking.

Results : Multiple logistic analysis showed that the group with mid level stress had a 1.52 times (95% CI=1.03∼2.24) greater risk for smoking than the low stress group and the high stress group, a 2.34 times (95% CI=1.14∼4.82) greater risk. There was a higher risk in men than in women, in the group who had experienced divorce or lost of spouse than for those who were married, in those who are employed than unemployed and in drinkers than abstainers.

Conclusion : This study found that the group who experienced higher stress levels carried higher proportion of smokers. Therefore, sound stress management and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ystematic stress control programs will contribute to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Key Words: smoking, stress
초록
연구배경 : 흡연은 질병발생과 사망률을 높이는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으로도 막대한 손실을 끼치고 있다.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스트레스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객관적 도구를 이용한 전국민 조사 및 관련성 분석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민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스트레스 수준과 흡연 여부와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 연구자료는 보건복지부와 서울의대 가정의학교실에서 1997년에 수행한 전국민 건강위험요인 감시체계 서베이 데이터로 다단계 층화 무작위 표본추출법(multi-stage stratified random sampling)에 의해 추출된 15세 이상 성인 총 1,055명을 대상으로 현재 흡연여부와 한국어판 BEPSI 설문지를 통한 스트레스 수준, 기타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행태에 대해 전화설문조사를 하였다. 분석방법은 카이스퀘어(χ2) 검정과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흡연 여부와 관련이 있는 요인으로는 성, 거주지역, 교육수준, 직업, 스트레스, 음주였으며, 인구사회학적 특성, 경제학적 특성, 건강 행태 변수를 모두 통제한 상태에서 저 스트레스군에 비해 중증도 스트레스군은 1.52배(95% CI=1.03∼2.24), 고 스트레스군은 2.34배(95% CI=1.14∼4.82) 흡연율이 높았다.

결론 : 스트레스 수준은 흡연 여부와 관련성이 높았으며, 건전한 방향의 스트레스 관리 유도 및 체계적인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구축은 개인차원 뿐만 아니라 국가차원에서의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중심 단어: 흡연, 스트레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