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5;26(6):327-336.
Published online June 10, 2005.
An Analysis of Attitudes on Euthanasia between Residents and Judicial Apprentices.
Jong Ho You, Oh Byung Kwon, Kyoung Kon Kim, Hee Cheol Kang, Myung Se Son, Kyoung Whan Lee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hinchon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Korea. zaduplum@yumc.yonsei.ac.kr
2Graduate School of Health Science and Management,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안락사에 대한 태도 분석 -전공의와 사법연수생의 비교-
유종호,권오병,김경곤,강희철,손명세,이경환
1
2
Abstract
Background
: Recently, the legal and ethical issues relative to euthanasia are becoming controversial in Korea. This study was designed to verify the differences of the attitudes on euthanasia between judicial apprentices and residents.

Methods :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the 35th-group of the judicial apprentices on March 24, 2004, and on the residents from April 2 to May 22, 2004. The respondents were 636 in total consisting of 460 judicial apprentices and 176 residents.

Results : Of the total 636 subjects, 373 (81.1%) of the judicial apprentices and 149 (84.7%) of residents agreed that allowing euthanasia is moral, without an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The number of residents was greater (59 people, 33.5%) than that of judicial apprentices (112 people, 24.4%) who agreed with active euthanasia (P<0.05). Among the total, 397 (86.3%) of the judicial apprentices and 160 (91.4%) of the residents answered that the law for euthanasia was necessary, without an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But, among these supporters, the respondents who agreed on active euthanasia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number between judicial apprentices (n=93, 23.4%) and residents (n=54, 33.8%) (P<0.05).

Conclusion : This study did not find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necessity of the law for euthanasia, but the rate of agreement on active euthanasia was higher in residents group than in judicial apprentices group.
Key Words: euthanasia, active euthanasia, passive euthanasia
초록
연구배경 : 최근 안락사와 관련된 법적, 윤리적 문제가 국내에서도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법제정에 관여하고 법을 집행하는 법조계와 말기 환자를 직접 치료하는 의료계간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향후 안락사에 대한 법 제정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21세기 법조계와 의료계의 주역이 될 사법연수생들과 전공의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2004년 3월 24일 사법연수원 35기생 7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4월 2일부터 5월 22일 사이에 6개 대학병원과 2개 종합병원 전공의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사법연수생 502명(회수율 71.7%)과 전공의 196명(회수율 65.3%)이 응답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기재가 하나라도 안 된 것은 제외하여, 사법연수생 460명과 전공의 176명, 총 636명을 대상으로 두 집단간에 안락사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와 각 인자들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 소극적 안락사가 윤리적으로 정당하다는 사람은 사법연수생 373명(81.1%), 전공의 149명(84.7%)으로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적극적 안락사가 윤리적으로 정당하다는 사람은 사법연수생 112명(24.4%), 전공의 59명(33.5%)으로 전공의들이 유의하게 더 많았다(P<0.05). 또한 안락사를 허용하는 법이 필요하다는 사람이 사법연수생 397명(86.3%), 전공의 160명(91.4%)으로 양자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안락사를 허용해야 한다고 한 사람 중 적극적 안락사도 허용해야 한다는 사람은 사법연수생 93명(23.4%), 전공의 54명(33.8%)으로 양자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결론 : 본 연구에서 안락사를 허용하는 법이 필요하다는 데에는 두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적극적 안락사도 허용해야 한다고 답한 사람이 전공의 그룹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중심 단어: 안락사, 적극적 안락사, 소극적 안락사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