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5;26(3):158-166.
Published online March 10,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and Body Composition Variables Measured by DEXA in Postmenopausal Women.
Soo Hyun Cho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Yongsan Hospital, Chung-Ang University, Korea. soohu177@kornet.net
폐경여성에서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 계측법(DEXA)으로 측정된 골밀도과 체성분과의 상관관계
조수현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용산병원 가정의학과
Abstract
Background
: This study was aimed to qua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ne mineral density and the body composition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 Whole and regional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were measured with DEXA in 149 postmenopausal women. Data were analysed using ANOVA test,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 The mean age was 53.4±6.9 years, the mean years since menopause(YSM) was 5.4±6.7 years, the mean height was 154.5±4.9 cm and the mean weight was 56.8±7.4 kg. They were classified under non-osteoporosis (n=40), osteopenia (n=66) or osteoporosis (n=43)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YSM, height, total lean body mass, bone mineral content (BMC), regional lean body mass of leg and trunk and regional BMD among the three groups (P<0.05). In contrast, weight, BMI, total fat mass and body fat percentag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The BMD of total body, lumbar spine and proximal femur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ge and YSM but positive correlation with height, weight, total lean body mass (P<0.05). From multiple linear models, age, total lean body mass, total fat mass and YSM were found to be the best predictor of total BMD (R2=0.460, P<0.05) and age and total lean body mass were found to be the best predictor of BMD of lumbar spine (R2=0.223, P<0.001) and proximal femur (R2=0.351, P<0.001).

Conclusion :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lean body mass is the major determinant of BMD at total, lumbar spine and proximal femur in postmenopausal women.
Key Words: bone density, body composition, fat, BMI,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
초록
연구배경 : 폐경 후 여성에서 골다공증의 예방인자로 체격이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체격을 구성하는 체성분 중 체지방량과 제지방량 중 어느 것이 골밀도와 보다 관련성이 있는지에 관해서는 명확하지 않다. 또한 우리나라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체지방 측정에 정확도와 예민도가 높은 DEXA를 이용한 연구가 많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폐경 후 여성에서 DEXA를 이용하여 골밀도 및 체성분을 측정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방법 : 2001년 1월부터 2002년 4월까지 모병원 산부인과와 가정의학과 외래로 내원한 호르몬요법을 받은 적이 없는 폐경주변기를 포함한 폐경 여성 149명을 대상으로 DEXA를 이용하여 전체, 요추부, 대퇴골부위의 골밀도와 전체, 국소적으로 각 체성분을 측정하여 각 부위의 골밀도와 나이, 폐경기간,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 전체, 국소별 체성분과의 상관관계와 이 중 어떤 성분이 골다공증과 보다 관련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결과 : 전체 평균 연령은 53.4±6.9세, 폐경기간은 5.4±6.7년, 신장은 154.5±4.9 cm, 체중은 56.8±7.4 kg, 체질량지수는 23.8±3.1 kg/m2이었다. 대상군 중 정상군은 40명이고 골감소증군은 66명, 골다공증군은 43명이었다. 이 3군 간에 연령, 폐경기간, 신장, 총 제지방량, 골량, 부위별로는 하지와 체간의 평균 제지방량, 상지와 하지의 국소 지방백분율, 골밀도(전체, 두부, 상지, 하지, 체간, 늑골, 골반, 척추골)는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으나 체중과 체질량지수, 총 체지방량, 총 체지방백분율 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전체, 요추부, 대퇴골부위 골밀도와 연령별, 폐경기간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신장, 체중, 총 제지방량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05). 다단계 다중회귀분석 결과 전체 골밀도는 나이, 총 제지방량, 총 체지방량, 폐경기간이 유의하여(P<0.05) R2=0.460이었고 요추부 골밀도는 나이, 총 제지방량이 유의하여(P<0.001) R2=0.223이었고 대퇴골부위 골밀도도 나이, 총 제지방량이 유의하였으며(P<0.001) R2=0.351이었다.

결론 : 폐경 후 여성에서의 전체 골밀도치는 총 제지방량과 총 체지방량이 유의한 관련이 있었으며 요추부 골밀도와 대퇴골부위 골밀도는 총 제지방량이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중심 단어: 체지방, 제지방, 골다공증, 폐경 후 여성,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 계측법(DEXA)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