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4;25(10):754-759.
Published online October 10, 2004.
Effects of Long Term Hormone Therapy on Platelet Activation in Postmenopausal Women.
Jee Aee Im, Sang Hwan Kim, Duk Chul Lee
1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MizMedi Hospital, Korea.
2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Yong-dong Severance Hospital, Korea. faith@yumc.yonsei.ac.kr
장기간의 여성호르몬치료가 혈소판 활성에 미치는 영향
임지애,김상환,이덕철
1
2
Abstract
Background
: Platelet activation has been implicated in the pathogenesis of a number of diseases, which include atherosclerosis, coronary vascular disease, and cerebrovascular disease. There have been controversies with the influence of hormone therapy on platelet activ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effect of long-term hormone therapy on platelet activation.

Methods : We recruited a total of 162 postmenopausal women aged 55 and above among wihch eighty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had received hormone therapy for more than 5 years and the remaining eighty- two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with no hormone therapyapy. Baseline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parameters related to platelet activation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using T-test. After platelet activation was defined by the reference range, multivariat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determining the odds ratio of hormone therapy on platelet activation.

Results : The MPC and PCDW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T group than the Non-HT group (P<0.001), which suggests that platelets were more activated in the HT group more than in the non-HT group.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odds ratio of the possibility of platelet activation in HT group was 19 times (P<0.001).

Conclusion : Long term hormone therapy increased platelet activation significantly, which may be a contributing factor of thromboembolism.
Key Words: hormone therapy, estrogen, platelet activation, menopause
초록
연구배경 : 여성호르몬치료가 혈소판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기존의 보고들은 상반되는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장기간의 여성호르몬 사용이 혈소판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방법 : 한 종합병원 갱년기 센터를 방문한 55세 이상의 건강한 폐경기 여성 중 여성호르몬치료를 5년 이상 투여 받은 80명을 치료군으로 하였고, 여성 호르몬을 사용한 경험이 없는 82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혈소판 활성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혈소판 평균 성분(MPC), 혈소판 평균 용적(MPV), 혈소판 성분 분포폭(PCDW) 등에 있어 두 군간 평균 차이를 T 검정으로 알아보았고, 혼란 변수를 통제한 후 MPC의 정상 참조치를 기준으로 혈소판 활성을 정의한 후 다 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교차비를 알아보았다.

결과 : 평균연령은 치료군과 대조군에서 각각 60.1±4.1세, 60.6±4.6세로 차이가 없었다. MPC와 PCDW는 치료군에서 25.65±1.99 g/dl, 5.3±0.4 pg, 대조군에서 27.97±1.37 g/dl, 5.8±0.58 pg으로 치료군에서 유의하게 낮았고, MPV는 치료군에서 8.29±0.78 fL, 대조군에서 7.68±0.72 fL로 치료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치료군에서 혈소판 활성이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혈소판 활성에 대한 치료군의 교차비가 19로 (OR=19, P<0.0001) 혈소판이 활성화 될 가능성이 대조군에 비해 치료군에서 1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5년 이상 여성호르몬치료를 실시한 폐경기 여성은 여성호르몬을 사용하지 않은 여성에 비해 혈소판의 활성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혈소판 활성이 여성호르몬 치료 후 혈전증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는 한 요인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중심 단어: 여성호르몬치료, 여성호르몬, 혈소판 활성, 폐경기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