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4;25(7):542-549.
Published online July 10, 2004.
Recognition of Osteoporosis and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Jin Ho Park, Hee Gyung Joe, Ju Young Kim, Tae Yoon Kim, Jung Sun Kim, Jung Ah Lee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Korea. gubung@netian.com
2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일개 농촌 지역의 골다공증에 대한 인지도 조사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분석
박진호,조희경,김주영,김태윤,김정선,이정아
1
2
Abstract
Background
: As the average lifespan of human increases, osteoporosis and osteoporosis-related fractures have become major health care problems. Despite recent advances in medical treatment, few studies have assessed the recognition of osteoporosis in general adults. This study examined the recognition of osteoporosis and analysed the relating factors.

Methods : We made a survey in a rural area called Chunjunlee in Chunchon city. The questionnaire contained general characteristics of people, sociocultural factors, questions constructed to know the recognition of osteoporosis and factors that were presumed to influence people's recognition of osteoporosis. DEXA was performed on those who visited our medical office free of charge.

Results : The total number of people who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was 204. They were composed of 81 men and 123 women. Among the total, 83% of women and 72.8% of men said that they had heard about osteoporosis. There was no significant recognition score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items of recognition, wrong answer rate concerning the association between osteoporosis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 such as osteoarthritis and low back pain was above 90%. The significant factors that influenced its recognition were age, education level, menopause state and newspaper/ magazine subscription. All men who were diagnosed with osteoporosis on DEXA initially said that they did not have osteoporosis.

Conclusion : Many people had a conceptual confusion between osteoporosis and other muscular skeletal disorders such as osteoarthritis and low back pain. Physicians played no significant role in improvement of people's recognition of osteoporosis. Generally, men thought that osteoporosis was a problem in women only.
Key Words: osteoporosis, fracture, recognition
초록
연구배경 : 빠른 속도로 고령화되어가는 사회현실 속에서 골다공증의 유병률과 이로 인한 골절의 증가가 사회적인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골다공증의 진단과 치료법이 잘 정립되어 있는 것에 반해 일반인들의 골다공증에 대한 인지도는 제대로 연구된 바가 없다. 일반인들의 골다공증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하여 그 정도와 특성을 파악하고 이러한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 골다공증의 인지도에 대한 항목과 이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인자들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하여 춘천시의 일개 농촌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개별 방문을 통해 설문을 완성하였으며, 무료 진료소를 통해 골밀도검사를 실시하여 골다공증 여부를 알아보았다. 각각의 인지도 항목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인지도를 점수화하여 여기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알아보았다.

결과 : 남자 81명, 여자 123명 총 204명에 대하여 설문을 완료하였다. 여자의 경우 83%가, 남자의 경우는 72.8%가 골다공증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정보원으로는 텔레비전이나 라디오를 통해서가 51.3%로 가장 높았다. 인지도를 크게 위험인자, 증상/진단/치료, 예방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각각 6점, 9점, 6점 만점으로 점수화하였으며 총점 21점 만점에 남자는 12.97점, 여자는 13.32점으로 남녀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인지도 항목 중 ‘체중이 가벼울수록 골다공증에 잘 걸린다’에 대해 오답률이 92.3%였고, 골관절염과의 관련성에서는 90.7%가, 요통과의 관련성을 묻는 질문에는 95.1%가 오답을 했다. 인지도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인자는 연령, 교육수준, 폐경 유무, 신문/잡지 구독 유무 등이었으며 병원 방문 및 의사의 설명이 골다공증의 인지도를 높이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왔다. 골밀도 검사에서 골다공증으로 나온 7명의 남자들은 모두 자신은 골다공증이 없다고 답하였다.

결론 : 골다공증의 인지도 면에서 많은 사람들이 골다공증과 관절염 또는 요통의 개념을 혼동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골다공증의 위험군인 고령층에서 인지도가 낮은 것으로 나와 대책이 요구되며 일반인의 골다공증 인지도 향상에 의사나 의료기관, 텔레비전 등이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어서 원인 파악과 함께 효율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남성들의 경우 골다공증에 대해 자신과 무관한 일이라고 여기는 경향이 있어 남성 골다공증에 대한 인식 변화가 요구된다.
중심 단어: 골다공증, 골절, 인지도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952 View
  • 4 Download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