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3;24(8):702-708.
Published online August 10, 2003.
Evaluation of Simple Tool as a Screening Test for Osteoporosis and Osteopenia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
Hye Joon Park, Kyung Hee Park, Geun Min Park, Yoo Jin Paek, Jung Jin Cho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Hallym Scared Heart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Korea.
한국 폐경기 여성의 골다공증 선별검사에 있어서 OSTA가 제시한 Simple Tool의 유용성
박혜준,박경희,박근민,백유진,조정진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과교실
Abstract
Background
: Osteoporosis is an important health concern among the postmenopausal wome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out acceptable screening tools for osteoporotic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isk Index by OSTA as a screening test for osteoporosis.

Methods : The study population was 322 naturally caused menopausal women in Korea. Their was of femoral neck and lumbar spine BMD measured by DEXA. Risk Index by OSTA, based on weight and age, was calculated and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for osteoporosis and osteopenia were evaluated. To find out the proper cut-off point for osteoporosis and osteopenia among the postmenopausal women in Korea, we also compared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each Risk Index value.

Results : The mean age and ages at menopause were 59.1(±6.2) and 50.7 (±2.7) years, respectively.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was 9.6% with femoral neck BMD. For oeteoporosis, using a cut-off point of -1 yielded a sensitivity of 74.3% and a specificity of 52.2% with femoral neck BMD. Using a cut-off of -2 yielded a sensitivity of 87.3% and a specificity of 70.9%. The ROC curve showed an AUROC 0.88 for Risk Index in identifying osteoporosis.

Conclusion : The Risk Index is an acceptable, simple and useful method in the diagnosis of osteoporosis with a Risk Index of -2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Key Words: osteoporosis, osteopenia, screening test, postmenopausal women, bone densitometry, age, weight
초록
연구배경 : 평균수명 연장으로 인한 폐경 후 여명이 증가됨에 따라 골다공증에 대한 관심도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폐경기 여성에서 골다공증 및 골감소증의 진단을 위한 골밀도 검사 대상 선정 시, Simple tool에 의거하여 체중과 연령만으로 산출한 Risk index의 골다공증 선별검사로서의 유용성을 알아보았다.

방법 : 2002년 1월부터 6월까지의 종합검진수신자 중 자발적으로 골밀도 검사를 시행한 여성들의 설문지 및 의무 기록지를 검토하여 그중 자연폐경된 여성들을 대상군으로 선정한 후, OSTA가 제시한 체중과 연령만을 이용한 Simple tool에 의거하여 Risk index를 계산하였다. 요추와 대퇴 경부 골밀도 결과를 바탕으로 골다공증 및 골감소증 진단을 위한 Risk index의 민감도, 특이도를 조사 후 각 Risk index의 민감도, 특이도를 비교하여 최적의 절단점수는 설정하였으며 이를 ROC curve의 결과와 비교, 확인하여 우리나라 폐경기 여성의 골다공증 진단을 위한 적정 절단 점수를 재선정하였다.

결과 : 골밀도 검사를 시행한 769명 중 골다공증 관련 질환이 없고 자연 폐경된 여성은 322명(41.9%)이었다. 평균 연령은 59.1±6.2세, 폐경 연령은 50.7±2.7세, 폐경 후 기간은 8.4±6.6년이었다. Simple tool에 의한 Risk index가 -1일 때 대퇴 경부의 골다공증에 대한 민감도는 74.4%, 특이도 82.2%, 양성예측도 21.4%였고, -2인 경우, 민감도는 87.3%, 특이도 70.9%, 양성예측도 32.4%였다. Risk index가 -1였을 때 대퇴 경부에서 골다공증에 대한 민감도 89.1%, 특이도 53.2%, 양성예측도 77.0%였고, -2인 경우엔 민감도 96.8%, 특이도 34.9%, 양성예측도 89.2%였다.

결론 : 자연 폐경기 여성을 대상으로 골다공증 및 골감소증 진단을 위한 선별검사로 simple tool에 의한 Risk index는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골밀도검사 대상군 선정기준이며, cut-off치는 -2가 적절하다.
중심 단어: 골다공증, 골감소증, 폐경기 여성, 선별검사, 골밀도, 연령, 체중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