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3;24(7):620-628.
Published online July 10, 2003.
The Predicting Factor of Vascular Endothelial Dysfunction in Healthy Premenopausal Obese Women.
Hee Sun Suh, Kyung Won Shim, Jee Hyun Kang, Su Hwa Kim, Sang Hwa Lee, Hong Su Le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건강한 폐경 전 비만여성에서 혈관 내피세포 이상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서희선,심경원,강지현,김수아,이상화,이홍수
이화여자대학교 부속 목동병원 가정의학과
Abstract
Background
: Vascular endothelial dysfunction (VED) plays a pivotal role in the pathogenesis of atherosclerosis and is associated with insulin resistance and with visceral obesity.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redicting factor of vascular endothelial dysfunction was investigated in healthy premenopausal obese women by pulse-wave analysis (PWA) combined with provocative pharmacological testing.

Methods : Thirty three obese women (BMI≥25), aged 20∼45 y and 25 age-matched control subjects (BMI; 18.5∼22.9) were examined. All women were sedentary (<1 hr/wk of physical activity), non-smoker and were excluded if they had type 2 diabetes melitus, hypertension, hyperlipidemia, cardiovascular disease, or acute inflammatory disease and were studied in folicullar phase of the cycle, within the first week after cessation of menstrual bleeding. They underwent determination of anthropometric measurements, metabolic variables, adipose tissue regional distribution, and endothelial function by performing pulse-wave analysis (PWA) combined with provocative pharmacological testing.

Results : Augmentation Index (AIx) fell significantly after the administration of salbutamol, which causes endothelium-dependent vasodilatation, but response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obese women compared with controls (10.28 6.72% vs 17.2 6.84%, P=0.0003). The change in after Nitroglycerin, which causes endothelium-independent vasodilatation,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30.86 9.67% vs 30.6 10.11%, P=0.9172). In our obese subjects, visceral adipose tissue area was independently a significant predictor of vascular endothelial dysfunction (β= 0.1381, P=0.0038, Adj-R2=0.348).

Conclusion : Increased abdominal adiposity is a powerful independent predictor of VED in obese healthy women. Future studies of vascular endothelial function should account for the independent effects of abdominal fat.
Key Words: visceral adipose tissue area, vascular endothelial dysfunction, augmentation index, hsCRP
초록
연구배경 : 혈관 내피세포 기능 이상(vascular endothelial dysfunction)은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높이는 데 중심역할을 하고 인슐린 저항성과 복부 비만과 연관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약물 유발 검사를 통한 맥압 파형 분석(Pulse-wave-analysis)을 이용해 혈관 내피세포 기능 이상을 측정하여, 염증 표식자인 hsCRP (High senstivity C-reactive protein) 및 그 외 비만 관련 변수들이 혈관 내피세포 기능 이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고혈압, 당뇨, 심혈관계질환, 고지혈증, 급성 염증성 질환이 없는 주 1회 이하의 운동량을 가진 20∼45세 사이의 비흡연 여성(BMI≥25 kg/m2) 33명과 나이를 짝짓기한 건강한 여성(18.5≤BMI≤22.9 kg/m2) 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방법 : 생리주기 중 여포기(follicular phase)에 비만군과 대조군 모두 신체계측과 복부 전산화촬영을 통한 체지방 측정 및 혈액검사를 하고, 혈관 내피세포 기능 이상을 측정하기 위하여 맥압 파형 분석을 시행하였다. 혈관 내피세포와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나이트로글리세린과 혈관 내피세포를 통해 혈관이완을 유발하는 Ventolin nebules (salbutamol) 투여 전후의 Augmentation Index값의 변화(ΔAIx)를 측정하였다. 비만군과 대조군에서 ΔAIx값을 분석하고, 비만군에서 Ventolin nebules (salbutamol) 투여 전후의 Augmentation Index변화값인 ΔAIx (salbutamol, %)과 다른 비만 관련 변수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혈관 내피세포 기능 이상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찾기위해 ΔAIx (salbutamol, %)을 종속변수로, 그 외 비만 관련변수를 독립변수로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나이트로글리세린 설하투여 전후의 AIx변화값인 ΔAIx (NTG, %)은 비만군과 대조군에서 차이가 없었으나(30.86 9.67% vs 30.6 10.11%, P=0.9172) Ventolin nebules 흡입 전후의 AIx변화값인 ΔAIx (salbutamol, %)은 비만군에서 10.28 6.72%, 대조군에서 17.2 6.84%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P=0.0003) 혈관 내피세포 기능이 비만군에서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ΔAIx (salbutamol, %)과는 내장지방, 체지방률,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공복 인슐린순으로 역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다중 회귀분석 결과 내장지방(β= 0.1381, P=0.0038)만이 ΔAIx (salbutamol, %)을 독립적으로 설명하는 변수로 나타났다(Adjusted-R2=0.348).

결론 : 증가된 내장지방이 건강한 페경 전 비만여성에서의 혈관 내피세포 기능 이상의 독립적인 예측인자이며, 복부지방의 혈관내피 세포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에 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중심 단어: 혈관 내피세포 기능 이상, hsCRP, 내장지방, Augmentation Index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