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4;15(2):113-120.
Published online February 1, 1994.
A Study for Osteoporosis of Postmenopause Women.
Chul Young Bae, Dong Hak Shin, Eun Su Ku, Jong Seuk Lee, Ji Sun Beak
폐경기 여성의 골다공증에 관한 조사
배철영, 신동학, 구은수, 이종석, 백지선
계명대학교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Abstract
Background
: Osteoporosis is the most common metabolic disease of the bone, and thought as public health problem due to its high prevalence and cost. Family physician as primary care physician is much interested in the osteoporosis. so we studied the rate of osteoporosis, severity and related risk factors of osteoporosis from high risk postmenopause women, in order to be helped in early diagnosis, treatment and prevention of osteoporosis.

Methods : Among 706 patients who have taken Bone Mineral Density examination(DEXA) from Nov. 11, 1992, to Jul. 31, 1993 at Dong San Medical Center, we selected 102 natural postmenopause women who were not related to 2nd osteoporosis. The data was gathered from the BMD examination, qustionnaire and chart review. these data were analyzed using SAS/PC stastistic program.

Results : The mean age is 57.7 years and postmenopause age is 47.6 years. Osteoporosis was defined when BMD of patient was below 90% of age-matched control value. Number of osteoporosis and normal group is 55 and 47, respectively. the rate of osteoporosis was 53.9%.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vealed between two groups in mean age, postmenopause age, duration of menstruation, duration after menopause, oral pill history, kyphosis and fracture history. In the multiple regression of risk factors to osteoporosis, height and postmenopause age had significant relation to the osteoporosis, and weight and Body Mass Index had trended to osteoporosis.

Conclusion : Family physician should consider there risk factors of the osteoporosis when postmenopause women visit. We think that the more precise study for risk factors to osteoporosis is essential.
초록
연구배경 : 골다공증은 골의 가장 흔한 대사성질환이며 치료에 앞서 예방이 선행이 되어야 할 질환으로 일차의료를 담당한 가정의의 관심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이에 저자등은 골다공증의 위험이 높은 폐경기 여성에 있어서 골다공증의 빈도와 정도, 그리고 관련된 인자들을 조사하여 조기 진단과 치료, 예방에 도움을 얻고자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방법 : 1992년 11월 11일 부터 1993년 7월31일까지 동산의료원에서 골밀도 검사를 시행한 706명 중 속발성 골다공증과 관련된 질환을 가지고 있는 여성을 제외한 자연폐경기 여성 102명을 대상으로 골밀도 검사, 설문지 및 의무기록지를 검토하고 SAS/PC통계처리로 분석하였다.

결과 : 조사대상군의 평균연령은 57.7세였고 평균 폐경연령은 47.6세였다. 동일 연령군의 정상골밀도의 90%미만을 골다공증으로 정하여 정상군이 47명, 골다공증군이 55명으로 폐경기 여성의 골다공증 빈도는 53.9%였다. 평균연령, 폐경연령, 월경기간, 폐경후기간, 경구피임력, 척추후만증, 골절기왕력에 있어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골다공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의 다중회귀 분석에 있어서 신장과 폐경연령이 골다공증과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몸무게와 체질량지수는 골다공증과 상관경향을 보였다.

결론 : 폐경기 여성 환자 진료시 가정의는 골다공증의 예방과 조기 진단에 있어서 이러한 인자들을 고려해야 할 것이며 향후 골다공증에 영향을 미치는 더많은 인자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