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9;20(3):259-268.
Published online March 1, 1999.
Comparison of family medicine and internal medicine residents: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of thyroid nodul.
Young Kwon Song, Woong Kwan Song, Yu Heon Huh, Sang Yeoup Lee, Yun Jin Kim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Korea.
가정의학과 내과 전공의의 갑상선 결절 미세침 흡인세포검사 비교
김윤진, 송영권, 송웅관, 이상엽
Abstract
Background
: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is an effective and important diagnostic procedure to distinguish benign from malignant thyroid nodu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results of thyroid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performed by the residents of family medicine and internal medicine.

Methods : Among patients who underwent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for differential diagnosis of thyroid nodule at th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uly 1996 to June 1998, we randomly selected 96 patients. We also selected 96 control patients at th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We assessed the patients' age, sex, accompanying symptoms, diagnostic procedures, pathologic results of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from the medical records and biopsy records. For statistical analysis, we used t-test and Chi-square test.

Results : Mean age of 96 patients of family medicine was 44.4 years. Females were 89(92.7%) and males 7(7.3%). Age and sex distribu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internal medicine patients(p>0.05). Patients with thyroid nodule had undergone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100.0%), thyroid function test(76.0%), thyroid scan(49.0%), and thyroid ultrasound(35.4%). There were more thyroid scans performed in the internal medicine department, as there were more ultrasonograms done in the family medicine department(p<0.05). Pathology results of 96 cases showed benign in 51 cases(53.1%), malignant in 8(8.3%), indeterminate in 16(16.7%), and insufficient in 21(21.9%). Among the 51 benign cases, there were cystic nodule(27.1%), adenomatous hyperplasia(22.9%), and thyroiditis(3.1%). All 8 malignant cases were papillary carcinoma. The frequency of malignancy thyroid nodules and insufficient specime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departments(p>0.05). Complications of aspi-ration were rare and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departments(p>0.05).

Conclusion : Pathology results and complications of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performed by residents of family medicine and internal medicin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초록
연구배경 : 갑상선 결절은 임상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악성 결절의 감별을 위하여 미세침 흡인세포검사를 많이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의학과에 갑상선 결절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의 특성과, 가정의학과 전공의가 시행한 갑상선 결절 미세침 흡인세포검사와 내과 전공의가 시행한 검사의 차이점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법 : 1996년 7월부터 1998년 6월 사이에 부산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에 갑상선 결절을 주소로 내원하여 가정의학과 전공의에게 미세침 흡인세포검사를 받은 환자 중 96명을 임의 추출한 후 의무 기록지와 조직검사 기록지를 분석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조군으로 같은 기간 내과에 내원하여 내과 전공의에게 미세침 흡인세포검사를 받은 환자 중 96명을 임의 추출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 조사대상자 96명의 평균 연령은 44.4세이고 연령군별 빈도는 30대와 50대 사이에 많았다. 성별 빈도는 여자가 89명(92.7%)으로 남자의 7명(7.3%)보다 12.7배 많았다. 연령 및 성별에 따른 갑상선 결절의 빈도는 내과 환자와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대부분의 환자는 전경부 결절(78.1%) 외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었으며, 전경부의 압통, 피로감, 애성, 경부 림프절 종대가 일부에서 있었다. 갑상선 결절의 진단을 위해 미세침 흡인세포검사, 갑상선 기능 검사, 갑상선 동위원소 스캔, 갑상선 초음파 순으로 많이 시행하였다. 내과에서는 동위원소 스캔을, 가정의학과에서는 초음파를 상대적으로 많이 이용하였고(p<0.05), 다른 검사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96례의 갑상선 결절증 51례(53.1%)는 양성으로, 8례(8.3%)는 악성으로, 16례(16.7%)는 불확정병변으로 판명되었다. 양성 결절 중에는 낭성 결절이 26례(27.1%), 선종성 과증식이 22례(22.9%), 갑상선염이 3례(3.1%)였으며, 악성 결절은 모두 유두암이었다. 불확정 병변 중에 여포성 암은 12례(12.5%) 있었다. 악성 결절의 빈도는 내과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부적절한 검체로 나온 경우가 가정의학과에서 21례(21.9%), 내과에서 17례(17.7%) 있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결론 : 가정의학과에 내원한 갑상선 결절 환자의 성별, 연령별 분포, 증상, 병리학적 결과는 내과에 내원한 환자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가정의학과 전공의가 시행한 갑상선 결절 미세침 흡인세포검사는 내과 전공의가 시행한 검사와 비교하여 부적절한 검체의 빈도나 검사의 합병증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