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9;20(1):79-88.
Published online January 1, 1999.
Usefulness of distal radius by BMD using DEXA.
Soo Yeol Kim, Chang Won Won, Hee Jin Lim, Byung Sung Kim, Hyun Rim Choi, Deog Yoon Kim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Korea.
2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Korea.
이중방사선 흡수법을 이용한 원위요골 골밀도 측정의 유요성
김수열, 원장원, 임희진, 김병성, 최현림, 김덕윤
1
2
Abstract
Backgrou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between distal radius BMD and other skeletal site(L2-L4, Femoral neck, Ward's triangle, Trochanter) BMD's, and to find out the usefulness of DTX-200. Methods : The authors surveyed the subjects of 76 perimenopausal women who had visited Kyu-nghee Medical Center and measured their bone mineral densities(BMDs) from February, 1997 to July, 1997. Measurements were done for distal radius, ultradistal-8mm radius BMD using DTX-200(OSTEOMETER, Denmark), and other skeletal sites(L2-L4, Femoral neck, Ward's triangle, Trochanter) BMDs using EXPERT(Lunar, USA). Using SPSS for window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 BMDs of both instruments were calculated. Results :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ere 76 (average age:54.8 years, range 32~78years). Among them, 67 were postmenopausal women. The BMD measurements of various skeletal sites were as follows : distal radius, 0.41±0.07(g/cm²), ultradistal-8mm radius 0.34±0.07(g/cm²), femoral neck 0.82±0.18(g/cm²), trochanter 0.72±0.17(g/cm²), Ward's triangle 0.59±0.22(g/cm²), L2-L4 0.98±0.16(g/cm²). The correlations of BMDs between distal radius and femoral neck, trochanter, Ward's triangle, and L2-L4 were 0.44, 0.35, 0.47, and 0.63, respectively. The correlations of BMDs between ultradistal-8mm radius and femoral neck, trochanter, Ward's triangle, and L2-L4 were 0.64, 0.34, 0.41, and 0.69 respectively. Conclusion : The correlations of BMDs between distal radius and those of femoral neck, trochanter, Ward's triangle, L2-L4 were moderately high.
초록
연구배경 : 일차의료에서 골다공증의 진단에 빠르고 간편한 방법으로 흔히 측정되는 원위요골 골밀도와 다른 신체부위(대퇴골 근위부, 요추부)골밀도의 연관성과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7년 2월부터 1997년 7월까지 골다공증 검진을 위해 경희대학 부속병원 가정의학과와 내과를 방문한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원위요골, 원위-8mm 요골(Ultradistal-8mm radius) 의 골밀도는 DTX200(Osteomter사, Denmark)로 요추(L2-L4)와 대퇴경부, Ward's triangle, 대퇴전자부의 골밀도는 EX-PERT(Lunar사, USA)으로 측정하였다. 폐경 여부, 연령, 체질량 지수 등 골다공증 위험인자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통계학적 방법으로는 SPSS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원위요골, 원위-8mm 요골과 요추, 대퇴경부, Ward's triangle, 대퇴전자부의 골밀도와의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나타내었고 단순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연구대상은 모두 76명(평균연령 54.8세, 범위 32세~78세)으로 폐경후 여성은 68명이었다. 원위요골의 골밀도와 대퇴경부, Ward's triangle, 대퇴전자부, 요추의 골밀도와의 상관계수는 각각 0.56, 0.35, 0.51, 0.63이었다. 또한 원위-8mm 요골의 골밀도와 대퇴경부, Ward's triangle, 대퇴전자부, 요추의 골밀도와의 상관계수는 각각 0.64, 0.41, 0.34, 0.69이었다. 원위요골의 골밀도의 요추 및 대퇴골 근위부의 골밀도에 대한 양성예측률은 0.32~0.89였고, 음성예측률은 0.43~0.89였다. 양성예측률은 Ward's triangle에 대해서가 0.89로 가장 높았으며 음성예측률은 대퇴전자부에 대해서 0.89로 가장 높았다. 결론 : 원위요골의 골밀도는 요추 및 대퇴경부, Ward's triangle, 대퇴전자부의 골밀도(T-score)와 중등도의 상관관계(r=0.35~0.63)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한 부위보다는 여러 부위를 측정하는 것이 진단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고 생각되나 비용에 대한 효용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