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7;18(1):53-64.
Published online January 1, 1997.
Comparison of the Epidemiology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rimary Hepatocellular Carcinoma Between HBsAg and Anti-HCV Positive Group.
Choo Yon Cho, Jin Won Kim, Seong Ho Hong, Shin Bae Lee, Han Mu Lee
원발성 간세포암 환자에서 B 형 간염 표면 항원 양성군과 C 형 간염 항체 양성군의 역학 및 임상적 특성의 비교
조주연, 김진원, 홍성호, 이신배, 이한무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Abstract
Background
: Primary hepatocellular carcinoma(HCC) is the second cause of cancer death in our country. Hepatitis B virus(HBV) and hepatitis C virus(HCV) are important risk factors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The mechanism of HCC development and the epidemiology in HCV- infected individuals are still unclea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pidemiolgical and chilnical features of HCC in relation to viral infection.

Methods : We reviewde the medical records of 160 HCC patients retrspectively who had been admitted to one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eoul between January 1991 and December 1995. Among theses patients, 113 patients were positive for HBsAg(B group, 24 for anti-HCV(C group). We compared epidemiological and clinical data between B group and C group.

Results : Anti-HCV posi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HBsAg negative patients than in HBsAg positive patients(53.3:17%, p<0.01). The mean age of patients in B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C group(52:62yr, p<0.01). In C group, the proportion of Child-Pugh class B and C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B group(35.4:75.0%, p<0.01). In C group, the proportion of transfusion history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in B group(4.4:16.7%, p<0.05), and the proportion of drug abuse hestory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in B group(31.0:62.5%, p<0.01). In C group, the albumin, cholesterol, Gamma-glutamyl transferase leve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B group. In B group, the proportion of metastasis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in C group(31.9:4.2%, p<0.01). Alpha fetoprotein levels greater than 400ng/ml are much more prevalent in group B significantly(67:39.1%,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umulative survival rate(1yr, 2yr) and median survival time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 We ascertain that the HBV and HCV are inportant factors in HCC. In epidemiology and clinical features of HCC, there were some difference between the HBsAg and anti HCV positive group. Therefore, on primary health care settings, it is necessary to test for hepatitis C as well as hepatitis B in order to prevent and manage HCC and chronic liver desease.
초록
연구배경 : 원발성 간세포암은 우리나라에서 종양에 의한 사망원인 중 위암 다음으로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악성질환이다. 우리나라의 간세포암 발생률은 세계적으로 높으며, 간세포암의 발생요인으로는 B형 간염 바이러스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C형 간염 바이러스도 많은 연구를 통해 간세포암의 중요한 인자임이 밝혀졌으나 그 발생기전 및 전파경로는 아직 명확히 규명되지 않고 있다. 이에 원발성 간세포암 환자를 대상으로 B형 간염 표면항원과 C형 간염 항체의 양성여부를 조사하고 이에 따른 역학 및 임상적 특성을 비교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1년 1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서울에 소재한 일개 대학교 부속병원에 입원했던 간세포암환자 160명명을 대상으로 병록지를 검토하는 후향적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환자중 B형 간염 표면항원 양성이면서 C형 간염 항체 음성인 예를 B군(113예), B형 간염 표면항원 음성이면서 C형 간염 항체 양성인 예를 Crns(24예)으로 분류하여 두 군의 역학 및 임상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 조사 대상자의 anti-HCV양성률은 HBsAg 음성 환자에서는 53.3%로 HBsAg 양성 환자의 1.7%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1). 평균연령은 B군에 비하여 C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52.0:62.3세, p<0.01). 수혈력은 C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4.4:16.7%, p<0.05). 약물복용력도 C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31.9:62.5%, p<0.01). 검사 소견상 알부민, 콜레스테롤, Gamma-Gultamyl transferase치는 C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5). 전이율은 B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31.9:4.2%, p<0.01). 태아알파단백은 400ng/ml 이상을 기준으로 B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67.0:39.1%, p<0.05). 누적생존율(1년, 2년)과 중앙생존기간은 C군에서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p=0.5277).

결론 : 우리나라에서는 B형 간염과 더불어 C형 간염이 간세포암의 중요한 인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간세포암의 역학 및 임상적 특징에 있어서는 B형 간염 표면항원 양성군과 C형 간염 항체 양성군이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일차진료 환경에서 B형 간염검사 뿐 아니라 C형 간염 검사도 함께 시행하는 임상적 주의의 향상으로 katpvhdka은 물론 만성간질환의 관리와 예방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