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3;14(11):734-742.
Published online November 1, 1993.
Clinical significance of fatty liver diagnosed by abdominal ultrasonography.
Hyun Dong Yu, Tae Ho Lee, Ae Kyung Cho, Young Kyoo Park, Kyung Hwan Cho, Myung Ho Hong, Chul Joong Kim, Soon Duk Kim
복부초음파로 진단된 지방간의 임상적 의의
조경환, 홍명호, 유현동, 이태호, 조애경, 박영규, 김철중, 김순덕
고려대학교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진단방사선과학교실 예방의학교실
Abstract
Background
: It is well known that the ultrasonographic test is one of most commonly performed diagnostic tool nowadays. Also the fatty liver is one of the most frequent finding by this abdominal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this fatty liver and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ultrasonography to make diagrosis and follow up clinical course of fatty liver.

Methods : Obesity index, liver function tests, blood lipids, clinical features, related factors and age and sex distribution were analyzed with 237 fatty liver cases those were diagnosed by ultrasonography for the health care examination at Guro Hospital Korea University from April 1992 to March 1993. Fatty liver cas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Mittelstaedt's classification to group I(mild) an group II(moderate to severe). In this study, patients who were confirmed as hepatitis B or C were excluded.

Results : Fatigue(21.5%), indigestion(9.9%), epigastric pain(9.4%) were frequent complaints and asymptomatic was 54.1% in group I. In other hand, fatigue(28.6%), indigestion(14.3%), epigastric pain(8.9%) were prominent subjective finding and asymptomatic were only 39.3% is group II. The obesity index was statistically higher in group II than group I.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anine aminotransferase, ν-glutamyltranspeptidase, alkaline phosphatas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II than in group I.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group II were significantly elevated than group I.

Conclusion : The fatty liver cases classified by ultrasonographic finding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veral biologic markers as indicated the above results. The author concluded that group II fatty liver needs more close and more frequent clinical traces individually as they have well known risk factors than group I.
초록
연구배경 : 오늘날 초음파 검사는 가장 흔히 시행되는 진단 방법중의 하나이며 지방간은 복부초음파 검사상 나타나는 가장 흔한 소견중의 하나이다. 이에 저자들은 초음파로 진단된 지방간이 어떠한 임상적 의의가 있는지 그리고 지방간의 진단 및 임상경과 관찰에 복부초음파 검사를 유용하게 적응할 수 있는 지를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2년 4월부터 1993년 3월까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건강관리과에 내원하여 초음파 검사를 시행한 후 지방간으로 진단된 환자중 B형 간염이나 C형 간염으로 진단된 환자를 제외한 237명을 대상으로, 초음파 검사상 반사파의 차이에 따른 지방간의 Mittels-taedt의 분류를 I군(경증) 및 II군(중등도 및 중증)으로 대별하여 비만도, 간기능 검사, 혈증 지질 농도, 임상 소견, 관련 인자 그리고 연령 및 성별 등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 임상 증상은 I군에서는 피로(21.5%), 소화 불량(9.9%), 상복부 통증(9.4%) 등의 순이었고 무증상인 경우는 54.1%였으며, II군에서는 피로(28.6%), 소하불량(14.3%), 상복부 통증(8.9%) 등의 순이었으며 무증상인 경우는 39.3%였다. 비만도는 II군에서 I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보였다. aspartate aminotransferase(이하 AST), alanine aminotransferase(이하 ALT) ν-glutamyltranspeptidase(이하 ν-GTP), alkaline phosphatase는 모두 II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총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도 II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론 : 초음파 소견에 따라 분류된 지방간군은 이상의 결과와 같이 여러가지 생물학적 지표상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이에 II군의 지방간 환자는 I군의 환자보다 개별적인 위험인자들에 대하여 보다 밀접하고 보다 빈번한 임상적인 추적 진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