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ults of skin prick test, serum total IgE and peripheral eosinophil count in allergic patients in Kyungpook area. |
Gyu Hoi Kim, Ki Heum Park, Ye Bong Lee, Chang Heon Yang, Chang Woo Lee, Yeong Hyeon Lee |
|
경북지역 알레르기 환자에서 피부단자검사 , 혈청 총 면역 글로부린 E치 및 말초혈액 호산구수의 측정 |
김규회, 박기흠, 이예봉, 양창헌, 이창우, 이영현 |
동국대학교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내과학교실 |
|
|
Abstract |
Background : Allergic disorders are increasing universially, so there are many trials to find out the allergens. Regional distribution of inhaled and food allergen is various, so we performed skin prick test, serum total IgE, peripheral eosinophil count in the allergic patients who reside in Kyungpook area.
Methods : Skin prick tests were performed and serum total IgE and peripheral eosinophil count were evaluated in the allergic patients who visited at the Dongkuk university hospital from March 1990 to July 1992.
Results : The positive rates of skin prick test with a battery of 55 common allergens are D. farinae 41.5%, house dust 41.0%, D. Pteronyssinus 37.9%, cat fur 33.5% in ord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positive reactivity in skin prick test, increased serum IgE level and peripheral eosinophil count.
Conclusion :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kin prick test, serum total IgE and peripheral eosinophil count between allergic patients who reside in kyungpook area and other areas in korea. |
초록 |
연구배경 : 세계적으로 알레르기 질환의 빈도는 점점 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알레르겐을 밝혀 내려는 시도가 많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흡입성 또는 음식물 알레르겐의 분포는 지역에 따라 다르므로 저자들은 경북지방에 거주하는 알레르기 환자들에서 피부단자검사, 혈청 총 면역글로부린 E치와 말초혈액 호산구수를 측정하여 알레르겐의 분포와 검사방법들의 상호 연관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방법 : 1990년 3월부터 1992년 7월까지 동국대학 포항병원 및 경주병원 내과, 소아과, 이비인후과, 피부과에 내원 또는 입원한 알레르기 환자 188명을 대상으로 하여 피부단자검사, 혈철 총 IgE치와 말초혈액 호산구수를 조사하였다.
결과 : 피부단자검사에 대한 총 55종의 개별 알레르겐의 양성율은 D.farinase 41.5%, 집먼지 41.0%, D. pteronyssinus 37.9%, 고양이털 33.5%등의 순이었다. 혈청 총 면역글로부린 E치 및 말초혈액 호산구수의 증가율은 전체적으로 73.4%, 36.7%였으며, 피부단자검사의 양성율과 형청 총 IgE치, 말초혈액 호산구수 사이에는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결론 : 경북지역에 거주하는 알레르기 환자에서의 피부단자검사와 혈청 총 IgE치, 말초혈액 호산구수를 측정한 결과 국내 타 지역에서의 연구결과와 유사한 성적을 보였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