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2;13(12):927-934.
Published online December 1, 1992.
Depression of highschool senior students in Seoul.
Min Chang Lee, Mi Kyung Oh, Jong Tae Choi
서울지역 인문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우울증
오미경, 이민창, 최종태
연세의료원 가정의학과
Abstract
Background
: The prevalence of major depression in adolescence has not been investigated yet, in Korea. Society, school, and family should help many students who have depression. The family physician, as a primary care physician, must care them appropriately. So, I'd like to give the basic information and the life-time prevalence of the major depression.

Methods : I choose three high schools(one male, two female) and check 1,229 senior students by group counseling using items of major depression in NIHM-DIS. The diagnosis was made when more than five in nine items were positive. The mild symptoms and secondary symptoms due to illness, drug, and death of relatives ruled out by using flow sheet of questions.

Results : There are 113 students(9.2%) who had major depression. There were close associations between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family APGAR score, past history of severe illness, trauma(p<0.001), and academic performance(p<0.05). But no statistical association was not found between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age, sex, number of siblings, family history of chronic illness, death of parents, economic status, drinking, and smoking. The most frequent symptoms were diminished concentration(27.3%) and ideation of death or suicide(26.2%) in all students, but in group of students with depression the most frequent symptoms were depressed mood(92.0%) followed by diminished concentration(85.5%) and ideation of death or suicide(85.0%).

Conclusion : The life-time prevalence of depression is 9.2% in senior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There were close associations between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family APGAR score, past history of severe illness or trauma, or academic performance. Unfortunately, none of them have gone to hospital for the symptoms of depression. So, the family physician, as a primary care physician, must have knowledge about diagnosis and management methods of depression.
초록
연구배경 : 아직까지 한국에서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우울증의 유병률에 대한 연구가 없었으며, 많은 학생들이 우울증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 학교, 가정에서 이에 대한 진정한 인식이 없는 관계로 적절한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는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우울증의 유병률과 이와 관계될 것으로 보이는 몇 가지 요인들을 연구하여 1차진료의료서 가정의가 이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 서울에 있는 인문계 고등학교 3개(남학교 한 개와 여학교 두 개)를 선정하여 고등학교 3학년 학생 1,229명을 대상으로 DIS(diagnostic interview Schedule)의 우울증 난을 이용하여 단체 면담의 형식으로 조사하였다. 진단은 DSM-Ⅲ-R의 진단 기준 아홉 항목 중 다섯 항목 이상이며 기타 약물이나 질병, 주변 사람의 죽음에 의한 이차적인 증상들을 캐묻기표에 준하여 감별한 경우로 하였다.

결과 : 총 1,229명의 학생들 중 우울증을 가진 학생은 113명으로 평생유병률은 9.2%였고, 연령, 성별, 질병에 대한 가족력, 부모의 사망, 형제와 자매의 수, 경제력, 음주 및 흡연과 우울증의 유병률 사이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없었으나 자신의 질병에 대한 과거력, 가족기능지수와 우울증 사이에는 상당히 유의한 관계를 볼 수 있었고(p<0.001) 성적과 우울증 사이에서도 유의한 상관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p<0.05). 우울증의 각 증상별로 보면, 전체 학생사이에서는 사고의 장애(27.3%)와 죽음에 대한 생각(26.2%)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반면, 우울증을 가진 학생에서는 우울한 감정이 가장 많았고(92%) 그 다음으로 사고의 장애(85.5%)와 죽음에 대한 생각이 많았으며(85.0%), 흥미의 상실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44.2%).

결론 : 청소년에서의 우울증은 상당히 흔한 질환이며 증상으로 의사를 찾는 학생은 단 한명도 없었다. 결론적으로 청소년에서의 우울증은 상당히 흔한 질환이며 1차 진료의료써 가정의는 이에 대하여 정확한 지식과 치료 방법을 가지고 청소년의 진료에 임해야 하겠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