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2;13(2):152-163.
Published online February 1, 1992.
Reference(cut-off) values of serum total cholesterol for risk groupof atherosclerosis among normal adults in Korea.
Jong Seok Park, Dong Yoon Ko, Kyung Hwan Cho, Myung Ho Hong, Soon Duck Kim
종합건강진단을 실시한 정상인에서 죽상경화증 발병위험군의 분별치 산정
박종석고동윤조경환홍명호김순덕
고려대학교의과대학 가정의학과 고려대학교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Background
: In recent years, the incidences of atherosclerosis is increased among Korean because of socioeconomic and diet change. And it is known that many biochemical markers for atherosclerosis including serum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LDL-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are exist. Among these markers, serum total cholesterol is most basal parameter for screening the risk of atherosclerotic coronary heart disease. In order to determine the cut off value of serum total cholesterol for risk of atherosclerosis in Korean people, we carried out this study.

Methods : Data were gathered from 679 adults over 20yrs-old who were evaluated for general check-up during period from June 1990 to May 1991. Except 383 abnormal groups on physical examination and laboratory study, 296 healthy groups was analyzed and evaluated. Serum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triglyceride level was distributed with age, and serum total cholesterol was utilized for cut-off point.

Results : The serum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were increased with age in both sex, and triglyceride was increased with age in woman but in men. There were no relation-ship between HDL-cholesterol and ag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serum total cholesterol by sex. The cut-off point of total cholesterol for moderate risk was 186mg/dl at 3rd decade, 202mg/dl at 4th decade, and 205mg/dl at 5th decade, and 223mg/dl at 6th decade, and 249mg/dl at 7th decade. Also the cut-off points of total cholesterol for high risk were 202mg/dl at 3rd decade, 223mg/dl at 4th decade, 229mg/dl at 5th decade, 236mg/dl at 6th decade and 260mg/dl at 7th decade.

Conclusion :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not sufficient to apply on all Korean adults because this study group was limited and small. But we tried for cut-off value of serum total cholesterol for risk group of atherosclerosis. And, further study and effort for reducing the risk of atherosclerosis should be evaluated.
초록
연구배경 : 최근 들어 사회경제적인 변화와 식생활의 변화로 인하여 한국인에서 죽상경화증의 발병빈도는 증가하는 추세이다. 혈청총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라이드, LDL-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등이 생화학적 지표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지표들 중에서도 혈청총콜레스테롤이 가장 기본적이며 유용한 지표로서 관상동맥질환의 선별 검사 및 고지혈증 환자의 치료방침 여부 및 치료효과 판정에 널리 쓰이고 있다. 이에 본 저자들은 정상인 한국 성인에서 관상동맥 질환 발병의 중등도 위험군과 고 위험군에 대한 분별치를 선정하여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의 치료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근거를 설정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0년 6월 1일부터 1991년 5월 31일까지 종합건강진단을 받은 사람들 중 20세 이상의 성인 679명중 이학적 검사 및 검사실검사 소견상 비정상군으로 판명된 383명을 제외한 29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혈청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연령별로 그 분포를 보았고, 이중 혈청 콜레스테롤치 75퍼센타일 이상을 중등도위험군 90퍼센타일 이상을 고위험군으로 하여 분별치 산정에 이용하였다.

결과 : 혈청총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은 성별에 관계없이 연령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트리글리세라이드는 여성의 경우에서 연령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HDL-콜레스테롤은 연령에 따른 연관관계가 없었다. 또한 성별에 따른 혈청총콜레스테롤치도 중요한 차이는 없었다. 중등도 위험군에서 총콜레스테롤의 분별치는 30대에서 186, 40대에서 202, 50대에서 205, 60대에서 223, 70대에서 249이었으며, 고 위험군의 경우에서는 30대에서 202, 40대에서 223, 50대에서 229, 60대에서 236, 70대에서 260이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조사 대상군이 비교적 한정되어 있으며 대상군 수가 적어 이 연구의 결과가 모든 한국인에게 적용하는 데는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본 연구는 객관적이고 정확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대상군에서 정밀종합검사를 실시하여 정상군을 판별하기 위하여 노력하였으며, 혈청콜레스테롤의 평균치를 이용한 정상기준치 대신에 위험률을 근거로한 분별치의 개념으로 기준치를 선정하였다. 관상동맥질병의 위험군에 대한 분별치를 산정하기 위한 게속적이고 포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이런 연구를 토대로 관상동맥질병의 위험인자의 감소와 예방을 위한 많은 노력이 경주되어야 할것이다.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814 View
  • 13 Download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