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ociation of Premenstrual Syndrome with Quality of Life in Young Korean Women. |
Bo Mi Kim, Ji In Jung, Yun Mi Song, Jung Kwon Lee, Jun Hyun Yoo |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yunmisong@skku.edu |
한국 젊은 여성의 월경전 증후군과 삶의 질의 연관성 |
김보미,정지인,송윤미,이정권,유준현 |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교실 |
|
|
Abstract |
Background Menstruation is often regarded as a privilege for women allowing reproductive activity. However, abrupt hormonal fluctuations in menstrual cycle may cause distress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such as premenstrual syndrome (PMS). PMS is known to have a great impact on daily life activities and social functions, and might result in significantly decreased quality of life (QOL). In this study, we aimed to evaluate a relation between PMS and QOL in young adult Korean women. Methods: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a total of 514 women who were aged 16∼35 years and who were employed in an industrial complex located in Gyeonggi-do, Korea. PMS was assessed using diagnostic criteria recommended by th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QOL was assessed using Korea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Scale. The association between PMS and QOL was examined in 440 women using the two-sample t-test after excluding 74 women who were missing for variables essential for the assessment of PMS and QOL. Results: The prevalence of PMS was 7.3% (32 out of 440 women). Women with PMS had the worse QOL score in almost all domains of QOL except for spiritual health (physical function, psychological health, social function, pain, vitality, role limitation, health status perception, and health status change). Conclusion: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PMS and QOL. The finding of significantly lower QOL in women with PMS suggests that PMS should be evaluated and treated actively in primary care. (J Korean Acad Fam Med 2008;29:108-113) |
Key Words:
menstruation, premenstrual syndrome, quality of life, women's health |
초록 |
연구배경: 월경을 하는 것은 출산과 관련된 여성 고유의 특권일수도 있지만 월경주기에 따른 호르몬 분비의 변화는 월경전 증후군 같은 질병상태를 초래할 수도 있다. 월경전 증후군은 여성의 일상생활이나 사회적 기능의 장애를 동반하기 때문에 이 질환을 가진 여성의 삶의 질을 저하시킬 것으로 추정되나 국내에서는 월경전 증후군과 삶의 질의 연관성 을 평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방법: 2005년 9월 15일∼11월 14일 사이에 경기도에 위치한 산업단지내에 근무하는 16∼35세의 여성 514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미국정신과학회가 제시한 진단기준에 따른 월경전 증후군 여부와 한국형 걬의 질 측정도구(Korea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Scale, KoQoLS)를 이용한 삶의 질을 평가하였다. 연구변수의 결측치가 없는 440명을 월경전 증후군이 있는 군과 없는 군으로 분류한 후 two-sample t-test를 이용하여 두 군 간의 삶의 질을 비교하였다. 결과: 월경전 증후군의 유병률은 7.3% (32명/440명)이었다. 월경전 증후군으로 진단 받은 군은 KoQoLS의 삶의 질 평가 항목에서 영적 건강 영역을 제외한 신체적 기능, 정신적 건강, 사회적 기능, 통증, 활력, 역할 제한, 건강상태 인식 및 건강상태 변화의 8개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다(P<0.05). 결론: 월경전 증후군과 삶의 질은 유의한 연관성이 있으며 월경전 증후군이 있는 여성의 삶의 질이 대부분의 영역에서 유의하게 저하되어 있음은 여성에서 월경전 증후군을 보다 적극적으로 평가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중심 단어:
월경, 월경전 증후군, 삶의 질, 여성 건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