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7;28(7):523-531.
Published online July 10, 2007.
The Usefulness of InBody 720 and Anthropometric Measurement Compared with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as a Diagnostic Tool of Childhood Obesity.
Byoung Ki Cho, Jee Hyun Kang, Jeong Seok Lee, Byung Yeon Yu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Konyang University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Daejeon, Korea.
초중학생에서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법을 기준으로 InBody 720 및 신체계측치를 이용한 소아 비만 진단의 유용성
조병기,강지현,이정석,유병연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건양대학병원 가정의학교실
Abstract
Background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BIA) is frequently used to diagnose obesity in clinical setting, but the usefulness of BIA in children is not become known accurately. We analyzed the usefulness of BIA and anthropometric measurement compared with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 as a diagnostic tool of childhood obesity. Methods: 205 volunteer primary and middle school children were recruited. We measured weight and height, and analyzed the body composition by BIA and DXA. By paired t-test and Bland-Altman plots, mean difference and limit of agreement were calculated between DXA and BIA according to sex and age groups.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displayed with the gold standard of PBF above 35% by DXA.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XA and BIA in fat mass (FM) (r=0.982, P<0.001), fat free mass (FFM) (r=0.990, P<0.001), and percent body fat (PBF) (r=0.956, P<0.001). Mean difference between DXA and BIA in FM, FFM, and PBF were ⁣0.4⁑1.4 kg (P<0.001), ⁣0.6⁑1.3 kg (P<0.001), and 0.5⁑2.8% (P=0.016), respectively. Limit of agreement in FM, FFM, and PBF were ⁣0.4⁑2.7 kg, ⁣0.6⁑2.5 kg, and 0.5⁑5.5%, respectively. The most sensitive method of diagnosis of obesity was Korean BMI standards for 85 percentile (94.7%) and IOTF BMI 25 kg/m2 (94.7%).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by BIA were 90.7% and 97.7%. Conclusions: BIA was not interchangeable with DXA. However because of higher diagnostic accuracy and correlation, it could be used to measure body composition as simple field method. We recommend Korean BMI standards for 85 percentile or IOTF BMI 25 kg/m2 as the screening test for diagnosis of Korean childhood obesity. (J Korean Acad Fam Med 2007;28:523-531)
Key Words: childhood obesity,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iagnosis of obesity, accordance, accuracy
초록
연구배경: 생체 전기저항 분석법(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BIA)은 임상에서 비만 진단을 위하여 흔히 사용되는 방법이지만 소아에 있어서 그 유용성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법(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을 기준으로 InBody 720과 신체 계측법에 의한 소아 비만 진단 방법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방법: "소아 체성분 분석 연구"에 대한 광고를 보고 자원한 초중학생 205명을 대상으로 신체계측 및 BIA와 DXA를 이용한 체성분 분석을 시행하였다. 성별과 연령군에 따라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DXA법 과 BIA법 간의 평균차이를 조사하였고 Bland-Altman plots를 이용하여 각 측정방법 간의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DXA를 기준으로 BIA법과 여러 신체 계측법에 의한 비만 진단의 민감도, 특이도를 계산하였다. 결과: DXA와 BIA로 측정한 체지방량(r=0.982, P<0.001), 제지방량(r=0.990, P<0.001), 체지방률(r=0.956, P<0.001)은 모두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각 측정 방법 간 지방량, 제지방량, 체지방률의 평균차이는 각각 ⁣0.4⁑1.4 kg (P<0.001), ⁣0.6⁑1.3 kg (P<0.001), 0.5⁑2.8% (P=0.016)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DXA를 기준으로 BIA에 의해 측정된 Bland-Altman plots의 분석 결과 체지방량, 제지방량, 체지방률의 오차 허용 한계는 각각 ⁣0.4⁑2.7 kg, ⁣0.6⁑2.5 kg, 0.5⁑5.5%였다. DXA 체지방률 35% 이상을 비만 진단 기준으로 정했을 때 한국 소아의 성별, 연령별 체질량지수 85 백분위수 기준과 IOTF 체질량지수 25kg/m2 기준이 민감도가 각각 94.7%, 94.7%로 가장 높았다. BIA법은 민감도 90.7%, 특이도 97.7%였다. 결론: 소아에서 BIA는 DXA를 대체하는 방법으로 사용 할 수는 없지만 상관도와 정확도가 매우 높아 임상에서 간편하게 체지방률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신체 계측치를 이용한 방법 중에 소아 비만의 선별검사로는 민감도가 높은 한국 소아의 성별, 연령별 체질량지수 85 백분위수 기준 또는 IOTF 체질량지수 25 kg/m2 기준을 사용하는 것이 추천된다.
중심 단어: 소아 비만, 생체 전기저항 분석법,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법, 비만 진단, 일치도, 정확도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1,134 View
  • 35 Download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