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f Perceptions of Family Physician's Role , Attitude and Practice by Patients and Family Physicians. |
Hye Ree Lee, Duk Chul Lee |
|
가정의의 역할 , 태도 , 진료영역에 대한 환자와 가정의의 인식도 비교연구 |
이혜리, 이덕철 |
연세의대 가정의학교실 |
|
|
Abstract |
Background : In actual primary care practice, patients and family physician may have different perceptions about the family phyician's role and attitude that can cause the conflict between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onflicting area about family physiian's role attitude, and practice which might show discrepancy between physicians and patients.
Methods : Ninety family physicians and residents from 10 teaching hospitals with family practice training program and 537 patients from 10 primary and secondary level of family practice center were surveyed by the same questionnaire from Sept. 5 to 9. The data was analyzed statistically by SAS program.
Results : Family physician's and patient's expectation showed a marked discrepancy in referring to specialty. Seventy-six percent of the patients felt physician should refer a serious problem to a specialist and one of the most important family physician's role was referring his patient to the most appropriate specialty properly. But only 38.9% of family physicians agreed to this concept. Most family physicians and patients clearly recognized general gatekeeping role of family physicians, but about the half ot the patients felt it was better to get the proper specialties according to his condition than primary care services, but the most family physician disagreed to this concept. Gatekeeping role of the family physicians accepted more frequently in highly educated patients(P<0.0001) and female(P<0.05). Most patients and doctors agreed that family physician was competent to manage most medical problems in family circumstances and family physicians should get periodic assessment of his medical competence. Sixty-seven pecent of family physicians agreed that family physician should concern about the nonmedical problem but only 40% of patients agreed that. Seventy one percent of patients felt it was important to know family circumstances for proper management but forty eight percent of physicians agreed to this. Patients prefered to be told what to do in everything but forty eight percent of family physicians agreed to this. Patients considered best attitude of family physician was profession, caring, responsibility, considerate, familiarity, sympathetic in the order of frequency. There was marked disagreement in medical problems which chould be handled without referral by family physicians. Those were pneumonia, pulmonary tuberculosis, examinations for breast cancer, acute and chronic hepatitis, circumcision, hypertension in the order of frequency.
Conclusion : Perceptions of family physicians and patients strongly conflicted in the area of referral. There was also disagreement in the gatekeeping role and some areas of practice without consultation. |
초록 |
연구배경 : 실제 임상의 경험적 상황에서 1차의료를 담당하는 가정의의 개념과 역할은 가정의와 환자 서로에게 다르게 인식될 수 있고, 이러한 차이가 갈등의 요인이 되어 의사와 환자의 관계를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본 연구는 환자와 의사가 서로 다른 견해를 보일 수 있는 부분 중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가정의의 역할, 태도, 진료영역, 3부분에 대하여 서로의 인식 차이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 94년 9월 5일부터 9일까지 수도권 지역에서 개원중인 가정의학과 의원 7곳과 2차 병원 3곳에서 진료받은 환자 537명과 가정의학과 및 전문의 90명을 대상으로 동일한 내용이 실린 두 종류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환자군과 의사군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chi-square 검정을 시행하였다.
결과 : 가정의와 환자의 인식차이가 가장 현저하게 나타나는 곳은 의뢰와 관련된 부분으로 정도가 심각한 질병의 경우 환자는 가정의가 직접 치료할 수 있다고 해도 특정 분야 전문의에게 의뢰해 줄 것을 의사에 비해 더 많이 기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일차의료 조정의사(gatekeeper)로서의 가족주치의의 역할을 묻는 문항에서는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또한 여자에서 긍정적인 응답을 하는 성향을 보였다. 의사와 환자의 대부분은 가정의가 가족내 질병을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을만큼 충분한 지식과 기술을 갖고 있으며, 정기적으로 의학적 지식과 기술을 평가받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의사는 가족 환경을 잘 알고 정신사회학적인 문제에도 개입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반면 환자는 보다 적은 수에서 동의함으로써 차이를 보였다. 환자는 의사에게 일일이 지시받기를 원하였으나 의사는 소수에서 이에 동의하였다. 환자가 선호하는 가정의의 태도 및 특성은 의학적 지식, 환자에 대한 관심, 책임감, 신중함, 친절 순이었고 의사는 의학적 지식, 환자에 대한 관심, 책임감, 친근감, 이해심의 순으로 별 차이가 없었다. 가정의가 의뢰없이 다룰 수 있어야 할 진료 영역 중 큰 인식 차이를 보인 건강상의 문제는 폐염, 폐결핵, 유방암 진단, 급성·만성간염, 포경수술, 고혈압 순이었다.
결론 : 환자와 가정의 간에 가장 커다란 인식 차이를 보였던 부분은 의뢰와 관련된 영역이었고, 그밖에 일차의료조정(gatekeeping)의 유익성, 가정의의 진료 영역 등에서 상당한 견해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견해의 차이가 실제 임상 현장에서 환자와 가정의 사이에 주된 갈등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이의 해결을 위한 다각적인 연구와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며 질병의 발생빈도에 따라서 의료영역의 역할분담이 이루어지고 이에 대한 공감대가 의료인과 환자사이에 형성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