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6;17(12):1430-1441.
Published online December 1, 1996.
The Relationship Between Pulmonary Function Parameters derived from the Forced Expiratory Spirogram and Age , Height , Weight and Smoking Amount in mid
Ae Ran Jung, Seon Young Kueon, Jung Jin Cho, Sung Choel Jung, Kyung Ah Yoon
중년 남성에서 폐활량 검사 지표에 대한 연령 , 신장 , 체중과 흡연량의 관련성
정애란, 권선영, 조정진, 정성철, 윤경아
한일병원 가정의학과
Abstract
Background
: Increasing the need of appropriate prediction formulas of pulmonary function parameters in Korean adults, interest about which affect the pulmonary function para-meters are increasing. Therefore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ulmonary function pa-rameters derived from the forced expiratory spirogram and age, height, weight, and smoking amount in Korean middle aged men.

Methods : We analyzed the result of parameters derived from the forced expiratory spiro-gram in 1,954 men who enrolled in health examination of on corporation, from March 1995 to April 1996, who are aged from 45 to 59, and who have neither history of cardiopulmonary dis-ease nor lesions on chest X-ray. Pulmonary function was estimated by SPIROVIT SP-200(Switzerland). We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ulmonary function parameters and age, height, weight and smoking amount by multiple linear regression method.

Results : Mean age, height and weight were similar among current-smoker, ex-smoker and non-smoker group. Results of the effect on height-adjusted pulmonary function parameters ac-cording to smoking status were that FVC, FEV₁ and FEV₁/FVC showed no difference among three groups, but FEF 25-75%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smokers group. To adjust the effects of age, height and weight about pulmonary function, we analyzed the parameters by multiple linear regression method. Results showed that all pulmonary function parameters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smoking amounts. We evaluated the effect of age, height and weight on pulmonary function parameters by multiple linear regression method. FVC and FEV₁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age, positive correlations with height and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weight. FEV₁/FVC showed negative correlation only with age, and FEF 25-75%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ge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weight, but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height. We compared the predicted value estimated for Korean with that for American. Predicted value from prediction formulas for Korean were higher than that for American.

Conclusion : Smokers had significant decrease of FEF 25-75% compared with ex-smokers and non-smokers in Korean middle aged men. This indicates that smoking develops early changes on peripheral small airways. We have got predicton formulas for pulmonary function parameters in which FVC and FEV₁consisted of age and height and FEF 25-75% consisted of age and weight. Because prediction values estimated by Korean were higher than that by American, we must apply appropriate prediction formulas in Korean to Korean pulmonary function test.
초록
연구배경 : 한국인에게 알맞은 폐활량 검사지표들의 추정정상치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검사지표들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에 대한 관심도 고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중년 남자에서 흡연에 따른 폐활량의 검사지표들을 살펴보고, 폐활량측정법 검사지표들과 연령, 신장, 체중과 흡연량 사이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검사지표들의 추정정상치 산출공식을 구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 1995년 3월부터 1996년 4월까지 한일병원 가정의학과에서 종합검진을 실시한 45세에서 59세 사이의 일개 국영기업체 남자 근무자 3,512명중 심폐질환의 과거력이 없고 흉부방사선 촬영상 폐병변이 없는 1,954명을 대상으로 노력성 호기곡선을 이용한 폐활량을 측정하였고, 흡연량 조사를 실시하였다. 폐활량측정은 SPIROVIT SP-200(Switzerland)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폐활량측정법 검사 지표들과 연령, 신장, 체중과 흡연량 사이의 상관관계를 다중선형회귀분석으로 조사하여 검사 지표들의 추정정상치 산출공식을 구하였다.

결과 : 흡연자, 과거 흡연자와 비흡연자군 사이에 평균 연령, 신장과 체중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폐활량 검사지표들에 대한 흡연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FVC, FEV₁과 FEV₁/FVC는 흡연군 간에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FEF 25-75%는 흡연자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연령, 신장과 체중의 영향을 고려하여 다중선형회귀 분석을 한 결과 ,과거 흡연량과 폐활량 사이의 관계는 모든 폐활량 검사 지표에서 유의한 역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폐활량측정법 검사지표들에 대한 연령, 신장과 체중의 영향을 고려하여 다중선형회귀 분석을 한 결과, 과거 흡연량과 폐활량 사이의 관계는 모든 폐활량 검사 지표에서 유의한 역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폐활량측정법 검사지표들에 대한 연령, 신장과 체중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FVC와 FEV₁은 연령과 역상관관계, 신장과 정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체중과는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FEV₁/FVC는 연령에서만 역상관관계를 보였고, FEF 25-75%는 연령과 역상관관계를, 체중과 정산관관계를 보였으나, 신장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서양인을 대상으로 구해진 추정 정상치 산출 공식과 본 연구를 포함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산출 공식을 비교할 결과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경우가 서양인에서 보다 높게 나왔다.

결론 : 한국 중년 남자 흡연자군에서 FEF 25-75%의 유의한 감소를 보여, 흡연이 말초 소기관에 초기 병변을 발생시킴이 관찰되었다. FVC와 FEV₁은 연령과 신장에서 상관관계를 보였고, FEF 25-75%는 연령과 체중에서만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를 포함한 한국인을 대상으로 구한 추정정상치 산출 공식이 서양인을 대상으로 한 경우보다 추정정상치가 더 높게 계산되는 것으로 보아, 한국인에서의 정확한 추정정상치 산출공식을 구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1,005 View
  • 11 Download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