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4;25(3):224-232.
Published online March 10, 2004.
The Effect of Job Stress in Jobholders on Propensity to Anxiety.
Young Soo Choi, Kuk Hyun Baek, Sung Ook Cho, Eun Young Choi, Eal Whan Park, Yoo Seock Cheong, Sun Mi Yoo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Dankook University, Cheonan, Korea.cey@mydoctor.snu.ac.kr
직장인의 직무 스트레스가 불안성향에 미치는 영향
최은영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과교실
Abstract
Background
: In modern industrial society, the complexity and diversity of social structure has deeply influenced job stress, and thereby threatens mental health of jobholders more than eve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job stress in jobholders on propensity of anxiety.

Methods : Initially, 235 jobholders living in Cheonan, Asan or Seoul, from May to June 2003, were the subjects of this questionnaire. Only 233 jobholders were evaluated due to inadequate responses from two subjects. The questionnaire was made up of three content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 Extended Karasek questionnaire for evaluation of job stress, and the Korean version of Goldberg anxiety scale for evaluation of anxiety. The data were analyzed by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Univariate analysis of propensity to anxiety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ce on age, monthly income and job characteristics. Moreover, in terms of multivariate analysis, in accordance with age, 40 to 49 (OR: 6.1), showed the highest odds ratio of propensity to anxiety, followed by 30 to 39 (OR: 5.2) and 10 to 29 (OR: 5.4). In job characteristics, high strain group (OR: 3.7) showed highest odds ratio, but neither low strain group nor active group revealed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In monthly income,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 Job stress in jobholders and propensity to anxiety was positively associated; especially, the more stress jobholders got, the higher propensity to anxiety was.
Key Words: job stress, anxiety, jobholder
초록
연구배경 : 현대 산업사회의 사회구조의 복잡화, 다양화로 직장인들의 직무 스트레스는 근래에 더욱 심화되는 추세에 있고, 이에 따라 정신건강은 더욱 위협을 받고 있다. 한편, 일차의료인들은 불안증상을 호소하는 직장인들을 자주 접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가 불안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2003년 5월과 6월에 천안, 아산지역과 서울지역의 일부 직장인 2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지 작성이 미흡했던 2명을 제외한 233명에 대해 최종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설문은 연구 대상자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직무 스트레스 평가를 위한 Karasek에 의해 제시되고 수정된 Extended Karasek questionnaire 그리고 불안증의 평가를 위한 '한국판 Goldberg 불안 척도'로 구성이 되었다. 통계분석은 chi-square test와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 단변량 분석에서 불안성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은 연령, 월평균소득 그리고 직무특성이었다. 불안성향은 연령으로는 20~29세의 군에서 74.5%로 가장 높았고, 월평균 소득으로는 100~200만원의 군에서 74.5%로 가장 높았다. 직무특성으로는 고긴장 집단의 군에서 82.1%로 가장 높았다. 다변량 분석에서 연령에 따른 불안성향의 Odds ratio 는 40~49세의 군(OR: 6.1)에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10~29세의 군(OR: 5.4), 30~39세의 군(OR: 5.2)의 순으로 나타났다. 직무특성에 따른 불안성향의 Odds ratio는 고긴장 집단의 군(OR: 3.7)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른 두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월평균소득에 따른 불안성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 직장인의 직무 스트레스는 불안성향과 상당한 연관성이 있었다. 특히, 직무 스트레스가 많은 직장인에서 불안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심 단어: 직무 스트레스, 불안, 직장인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