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3;24(11):1010-1016.
Published online November 10, 2003.
Age Associated Changes in Body Mass Index and Body Fat Distribution.
Jung Ho Lee, Chan Hee Song, Keun Sang Yum, Kyung Soo Kim, Soon Woo Nam, Jun Yeol Han, Gyu Won Jeong, Hei Sik Sun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Korea. kskim@catholic.ac.kr
2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Korea.
연령에 따른 체질량 지수와 체지방량의 분포
이중호,송찬희,염근상,김경수,남순우,한준열,정규원,선희식
1
2
Abstract
Background
: Body mass index is currently applied as the diagnostic standard of overweight and obesity, regardless of age. Percentage body fat ratio applies separate standards among different sex, but does not have separate standards for different age groups. Since body mass index and percentage body fat may differ according to age, we conducted this study to see if a separate standard for overweight and obesity is indeed necessary for different age groups.

Methods : We selected 2,190 subjects, who were the 10 percent picked randomly by computer, among 21,921 clients who had visited the St. Mary's Hospital's health promotion center in Seoul. Those diagnosed with diabetes, thyroid disease, renal failure, and tuberculosis were excluded, leaving 1,939 over the age of 20, as final subject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were done using electronic scales and height meters, while body composition was measured with a multi-frequency 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 (Inbody 3.0 Biospace,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hown i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mean values according to ages were compared by Ancova test.

Results : In the case of adult men, percentage body fat increased with age. This was observed especially with subjects over 30 compared to subjects in their 20s, although not prove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 decrease in fat free mass rather than increase in body fat mass was noted with aging. With adult women, percentage body fat increased markedly with subjects over 50, mainly due to increased body fat mass rather than decreased fat free mass. Subjects exceeding a body mass index of 25, which is the standard limit of body mass index for obesity, was 60th percentile for adult men, and 70∼80th percentile for adult women. Percentage body fat in this case was 22.54% for men and 31.99∼33.46% for women.

Conclusion : Our study indicates that both men and women show changes in body mass index and fat free mass with aging. Hence, there are limitations to applying a universal standard for body mass Index, regardless of age. We suggest that further studies on standards for adult obesity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specific Korean epidemiologic data.
Key Words: body mass index (BMI), body fat mass, obesity, impedance
초록
연구배경 : 현재 과체중과 비만의 진단기준으로 사용되는 체질량 지수는 성별, 연령과 관계없이 일정한 기준치를 사용하고 있으며, 체지방량도 성별에 따른 각각의 기준치는 있으나, 대부분 연령에 따른 차이를 두지 않고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체질량 지수와 체지방량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연령에 따른 체질량과 체지방량의 분포의 조사하여, 연령에 따른 과체중과 비만의 기준치가 필요한지 기초 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2000년 12월부터 2002년 5월까지 서울에 소재한 1개 대학병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한 20세 이상의 수진자 21,921명 중 10%를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무작위 추출한 후 체중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당뇨, 갑상선, 신부전, 결핵 등의 질환이 있는 자를 제외하고 20세 이상 성인 1,939명(남자 1,313명, 여자 626명)을 최종 연구 대상자로 하였다. 신체계측은 전자저울과 신장 계측기를 이용하였으며, 부위별 체성분 분석에는 다주파수 부위별 임피던스 측정기(Inbody 3.0, 바이오스페이스, 서울)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표시하였고 연령대에 따른 평균치는 ancova test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 성인 남성의 경우, 체지방률은 연령의 증가에 따라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20대에 비하여 30대 이후에 증가하는 경향이 두드러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며 나이가 들수록 체지방량의 증가보다 제지방량의 감소가 더 두드러지는 양상을 보였다. 성인 여성의 체지방률은 50세 이후 유의한 증가를 보였는데, 이는 제지방량의 감소보다는 체지방량의 증가가 주된 원인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는 비만의 진단기준인 체질량 지수 25 이상의 percentile을 산출한 결과 남자의 경우 60 percentiles, 여자의 경우 70∼80 percentiles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때의 체지방률은 남자 22.54%, 여자 31.99∼33.46%이었다.

결론 : 연구 결과 남성과 여성 모두 나이에 따라 체지방량과 제지방량의 변화를 보여 체질량 지수만으로 나이와 관계없이 비만도를 평가 하는 데는 제한점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향후 우리나라의 질병 역학조사를 기초로 하여 성인의 비만 진단 지표에 대한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중심 단어: 체질량 지수, 체지방량, 비만, 임피던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