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coholic Beverage Preference and High Risk Drinking. |
Tai Woo Yoo, Woo Jin Chung, Sun Mi Lee, Sung Hee Lee |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Korea. 2Graduate School of Health Science and Management, Yonsei University, Korea. wchung@yumc.yonsei.ac.kr 3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eoul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Korea. |
선호 주종이 고위험 음주에 미치는 영향 |
유태우,정우진,이선미,이성희 |
1 2 3 |
|
|
Abstract |
Background : Most recent studies have suggested that beer is associated with high risk of mortality and morbid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beverage types affected high risk drinking for chronic harm.
Methods : We analyzed data from 1997 Korea's Behavioral Risk Factor Surveillance System Survey collected through telephone interview based on the multi-stage stratified random sampling (N=1,045). According to the WHOs guidelines, we categorized alcohol consumption per day into three risk levels for chronic harm and employed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by adjusting for confounding factors including the number of beverages consumed, smoking, BMI, stress, and subjective health.
Results : Those who preferred soju were almost three to four times as likely to involve medium or high risk as those who preferred beer. In addition, compared to the beer-preferring drinkers, those who preferred spirits had more than five times of possibility in high risk drinking. However, both of those who preferred makkolli or wine and of those who preferred beer were exposed to high risk drinking to a similar degree.
Conclusion : In Korea, preferred types of alcoholic beverage turned out to be very important factor of high risk drinking behavior. Therefore, we need to encourage drinkers to switch high alcohol to low alcohol content beverages. |
Key Words:
alcohols, alcoholic beverage, alcohol abuse |
초록 |
연구배경 : 국내에서는 음주가 유병률과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역학적 연구에 머물렀을 뿐 음주의 위험도를 다범주로 구분하고 각 음주 위험범주에 미치는 요인을 찾는 연구는 전무하다. 본 연구는 음주 위험도를 비음주, 저위험 음주, 중위험 음주, 고위험 음주의 네 가지로 구분하고 개인의 주종 선호가 음주 위험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규명하였다.
방법 : 보건복지부와 서울대학교 가정의학교실에서 1997년에 수행한 전국민 건강위험요인 감시체계 서베이 데이터로 다단계 층화 무작위 표본추출법(multi-stage stratified random sampling)에 의해 추출된 15세 이상 성인 총 1,045명을 대상으로 하여 지난 한 달 동안 음주 주종, 빈도, 소비량 및 기타 인구사회적 특성에 대한 전화설문조사를 하였다. 통계분석방법은 비모수 추정과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 소주 선호자는 맥주 선호자에 비해 중위험 또는 고위험 음주를 할 가능성이 약 3∼4배 높았으며, 양주 선호자는 고위험 음주의 가능성이 맥주 선호자에 비해 약 5∼6배 높았다. 막걸리 또는 포도주 선호자와 맥주 선호자는 고위험 음주를 할 가능성이 대체로 동일하였다.
결론 : 각 개인이 주로 즐기는 주종은 고위험 음주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위험요인이며, 음주로 인한 건강상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반드시 주종간 해악도의 차이를 고려하여 알코올 도수가 낮은 주종으로 소비를 바꾸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중심 단어:
음주, 주종, 알코올 남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