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3;24(3):232-244.
Published online March 10, 2003.
Combined Effects of Individual Background, Work Shift and Job Stress on the Prevalence of Sleep Problems in Hospital Employers.
Jae Hyun Bae, Jun Hwan Jeong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Young Do Hospital, Korea. kaki5817@hanmail.net
병원종사자에서 개인환경, 교대근무 및 직무 스트레스가 수면 문제에 미치는 영향
배재현,정준환
영도병원 가정의학과
Abstract
Background
: The accuracy and efficiency of a job performed by hospital employee can be linked directly with patients' health and life. It is considered that their irregular work and stress are relatively high as compared with other workplaces. In this article we tried to look into how job stress, working environment and factors of life- style influence sleep problems in hospital employees.

Methods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mong 248 workers of a hospital in Busan on April, 2002. Sleep problems were categorized into insomnia, sleep deprivation, daytime sleepiness and snoring on the basis of the factor analysis of 11-item questions. The job stress was proposed by Karasek, etc., and measured by 14-item modified questions.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Statistically insomnia, sleep deprivation and daytime sleepines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women (OR:2.1/2.69/3.16) and shift workers (OR:4.67/ 3.28/1.98) and snoring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obesity (OR:5.0) and smokers (OR:2.34).

Conclusion : This research showed that many hospital employees perceive sleep disorders as critical. Especially, work shift seemed to be an important risk factor for sleep disorders.
Key Words: sleep problems, work shift, job stress, life- style factors
초록
연구배경 : 병원종사자들에서 작업의 정확성 및 효율성은 환자의 건강 및 생명과 직결될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불규칙한 근무와 스트레스 수준이 다른 작업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고 여겨지는 병원종사자들에서 직무 스트레스와 근무환경 및 생활 습관 요인들이 수면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2002년 4월 부산광역시 시내 일개 병원의 근무자 2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면 문제는 11개 항목의 요인분석에 기초해 불면증, 수면박탈, 주간 졸리움, 코골이로 분류하였고 직무 스트레스는 Karasek 등이 제안하였고 변형된 항목 14개를 이용한 설문지로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은 Chi-square test와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 불면증은 여성(OR: 2.1)과 교대근무자(OR: 4.67)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수면박탈은 여성(OR: 2.69)과 교대근무자(OR: 3.28)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주간 졸리움은 여성(OR: 3.16)과 교대근무자(OR: 1.98)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코골이는 비만자(OR: 5.0)와 흡연자(OR: 2.34)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 많은 수의 병원종사자들이 수면 문제를 심각하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교대근무는 수면장애의 중요한 유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심 단어: 수면 문제, 교대근무, 직무 스트레스, 생활습관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