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Dietary Antioxidant Vitamins and Fiber on the Risk of Myocardial Infarction. |
Ju Hye Chung, Chang Jin Choi, Kang Sook Lee, Chin Eun Chung, Kyung Soo Kim, Hyo Seok Ahn |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Medical College of Catholic University, Korea. fmchcj@catholic.ac.kr 2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Medical College of Catholic University, Korea. 3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Ansan College, Korea. |
항산화비타민과 섬유소 섭취에 따른 심근경색증의 발생 위험 연구 Effects of Dietary Antioxidant Vitamins and Fiber on the Risk of Myocardial Infarction |
정주혜,최창진,이강숙,정진은,김경수,안효석 |
1 2 3 |
|
|
초록 |
연구배경 : 서구에서는 대규모 역학연구를 통해 관상동맥질환과 항산화비타민 및 섬유소와의 관련성이 보고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관상동맥질환과 일부 식이요인에 대한 소수의 단면연구만이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비타민과 섬유소를 중심으로 식이요인을 조사하여 심근경색증 발생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9년 7월부터 2001년 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부속병원에 내원한 급성심근경색증 남자 환자 102명과 대조군 112명을 대상으로 식품섭취빈도지를 이용하여 평소의 영양섭취량을 설문조사 후 1일 영양소 섭취량을 계산하였다. 기존의 관상동맥질환 위험인자를 파악하기 위해 과거력, 가족력을 설문조사하였고 신체계측, 혈압 측정과 생화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급성심근경색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항산화비타민인 비타민 C와 비타민 E, 섬유소의 열량 당 섭취량이 적었다(P<0.05). 항산화비타민 및 섬유소의 섭취량을 4군으로 나누어 심근경색증 발병에 대한 교차비를 구한 결과, 4분위를 섭취할 경우 1분위에 비해 비타민 A는 0.41 (95% CI 0.18∼0.90), 비타민 C는 0.33 (95% CI 0.15∼0.75), 비타민 E는 0.89 (95% CI 0.41∼1.94), 섬유소는 0.27 (95% CI 0.12∼0.63)의 교차비를 보였다.
결론 : 중장년층 남성에서 항산화비타민과 섬유소가 풍부한 식품을 섭취하는 것이 심근경색증 예방 관련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의 전향적 코호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중심 단어:
항산화비타민, 섬유소, 급성심근경색증, antioxidant vitamin, fiber, myocardial infarction |
|